실시간 뉴스



[日수출규제 1년 ⑤] 'NO 재팬'에 우는 '유니클로' vs 여유만만 'ABC마트'


선택적 불매운동에 실적 희비…DHC 등 日 화장품도 인기 '뚝'

[아이뉴스24 장유미 기자] 지난해 7월 일본 정부가 수출 규제에 나서면서 시작된 '일본 제품 불매운동'이 벌써 1년을 맞았다. 그 동안 일본 매체들은 '한국인 냄비근성'을 운운하며 불매운동이 오래 가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지만, 이와 달리 일부 브랜드들은 불매운동 여파로 지금도 어려움을 겪고 있어 답답해 하는 눈치다.

1일 업계에 따르면 일본 제품 불매운동으로 가장 피해를 본 곳은 '유니클로'다. '유니클로'는 지난 2005년 국내에 첫 매장을 오픈한 후 인기를 끌며 2015년부터 4년 연속 '매출 1조 클럽'에 들 정도로 초고속 성장했다. 연간 영업이익도 2천억 원대를 기록하며 오랜 불황으로 힘겨워하는 다른 패션업체들과는 대조적인 모습을 보였다.

 [사진=아이뉴스24 DB]
[사진=아이뉴스24 DB]

하지만 지난해 7월 2일부터 일본 불매운동이 시작되면서 상황은 역전됐다. '유니클로'가 일본 대표 제품으로 지목된 데다 일본 본사 임원이 "한국에서 불매운동이 오래가지 못할 것"이라고 실언한 내용들이 알려지면서 불매운동에 더 불이 붙었다. 또 지난해 10월에 내보낸 '위안부 폄하 논란' 광고까지 더해지며 '유니클로'에 대한 소비자들의 반감은 극에 달했다.

이에 '유니클로'는 지난해 7월부터 매출이 급감하며 실적에 큰 타격을 입었다. '유니클로'를 전개하는 에프알엘코리아의 지난해 매출은 전년 대비 30% 이상 감소해 5년 만에 매출액이 1조 원 밑으로 떨어졌고, 영업이익도 19억 원 적자로 돌아섰다.

이 여파로 에프알엘코리아는 내부 구조조정을 두고 검토하기도 했다. 하지만 해당 내용이 담긴 이메일을 배우진 전 에프알엘코리아 대표가 실수로 전 직원에 발송해 논란이 되면서 실제로 진행되진 않았다. 이 일로 에프알엘코리아 수장은 정현석 신임 대표로 지난달 교체됐다.

또 '유니클로' 자매 브랜드인 '지유(GU)'는 불매운동 여파로 한국 진출 1년 8개월 만에 철수를 선언했다. 이에 따라 '지유' 온라인 스토어는 이달 말까지, 오프라인 스토어는 다음달까지만 운영된다.

생활용품 브랜드 '무지'를 운영하는 무인양품도 불매운동 탓에 고전을 면치 못했다. 지난해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9.7% 줄어든 1천243억 원에 그쳤고, 영업이익도 2018년 72억 원에서 193.4% 감소해 71억 원 적자로 돌아섰다. 당기순손실은 57억 원을 기록했다.

'데상트' 역시 불매운동의 직격타를 입었다. 한국 시장은 '데상트' 전체 매출의 50%를 차지하는 주력 시장이었지만 불매운동 여파로 지난해 실적이 꼬꾸라졌다. 실제로 데상트 본사가 지분 100%를 보유한 데상트코리아의 작년 매출액은 15.3% 줄었고, 영업이익은 86.7% 감소했다. 다만 19년 연속 흑자 기록은 유지했다.

'데상트'의 점포 수는 올해 6월 말 기준 227개로, 작년 상반기와 비교 시 20개 정도 줄었다. 여기에 '데상트'는 다음달에 '영애슬릿' 매장 운영을 중단할 예정이어서 하반기에 매장 수가 급락하며 올해 더 큰 타격을 입을 것으로 보인다.

이 외에도 일본 골프용품 기업인 한국미즈노도 작년 영업이익이 52.7%나 감소해 운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고, '몽벨'을 전개하는 LS네트웍스도 이 여파로 작년 브랜드 매출이 약 13% 줄었다.

'혐한 방송'으로 논란이 됐던 DHC 테레비 방송 장면 [사진=DHC테레비 방송 장면 캡처]
'혐한 방송'으로 논란이 됐던 DHC 테레비 방송 장면 [사진=DHC테레비 방송 장면 캡처]

하지만 '불매운동'이 전 일본 제품이 아닌 소비자 감정에 따른 '선택적 불매운동'으로 변질되면서 일부 일본 패션 브랜드들은 예상보다 큰 타격을 입지 않았다. 특히 신발 편집숍인 'ABC마트' 점포 수는 1년여 전보다 오히려 20여 개 늘었고 실적 역시 '유니클로'와 달리 늘었다.

실제로 ABC마트코리아의 지난해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6.7% 늘어난 5천459억 원으로 집계됐다. 다만 영업이익은 11.9% 감소한 376억 원을 기록했다. ABC마트코리아는 일본 ABC-마트가 99.96%의 지분을 갖고 있으며, 지난해 일본 본사에 81억 원의 로열티를 지급했다.

'유니클로'에 가려져 '아식스코리아'도 일본 불매운동의 타겟을 피해갔다. 덕분에 지난해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6.2% 정도 감소하는 데 그쳤고, 지난 2018년에 적자를 기록했던 영업이익은 오히려 지난해 47억 원으로 흑자 전환했다.

올리브영, 랄라블라, 롭스 등 H&B 스토어들은 작년 8월부터 DHC 제품을 모두 퇴출시켰다.   [사진=각 사 모바일 앱 캡처]
올리브영, 랄라블라, 롭스 등 H&B 스토어들은 작년 8월부터 DHC 제품을 모두 퇴출시켰다. [사진=각 사 모바일 앱 캡처]

반면 화장품 시장에선 일부에 집중되지 않고 일본 브랜드들이 전반적으로 침체된 모습을 보였다.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에 따르면 지난해 일본 화장품 수입은 2억869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8.5% 줄었다. 프랑스(2.4%), 미국(0.7%), 중국(29.6%) 화장품 수입액이 늘어난 것과 대조적인 모습으로, 일본 제품 불매운동 여파가 어느 정도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또 '시세이도', 'SK-Ⅱ' 등 백화점에서 판매되고 있는 일본 화장품 브랜드들도 부진한 성적을 이어가고 있는 상태다. 이에 A 백화점의 지난달 일본 화장품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5.9% 감소했다.

또 작년에 '혐한 방송'으로 큰 물의를 빚었던 일본 화장품 기업 DHC의 퇴출운동도 여전히 진행형이다. DHC는 유튜브 채널 'DHC테레비'의 시사프로그램 '도라노몬 뉴스'를 통해 출연자들의 혐한 발언을 여과 없이 내보내 소비자들의 질타를 받았다.

당시 해당 출연자들은 "일본인이 한글을 통일시켜 지금의 한글이 됐다" 등의 내용으로 역사를 왜곡했을 뿐 아니라 '위안부 평화의 소녀상'에 대해서도 막말을 쏟아내 논란이 됐다.

이후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에서는 '#잘가요DHC'라는 해시 태그를 붙인 게시글이 쏟아지며 'DHC 퇴출운동'이 빠른 속도로 확산됐다. 소비자들의 분노가 커지자 국내 헬스앤드뷰티(H&B) 스토어 올리브영, 랄라블라, 롭스는 DHC 제품의 판매를 곧 바로 중단해 지금까지 판매하지 않고 있다. 반면 이베이코리아, 11번가, 티몬 등 일부 이커머스 업체들은 일본 불매운동 초반부터 DHC 제품을 금칙어로 설정해 놓은 상태지만, 네이버 검색 등을 통하면 DHC 상품은 구입할 수 있도록 해 놓은 상태다.

이 외에도 일부 일본계 유통업체들도 불매운동 리스트에 오르면서 상당한 피해를 입었다. 가장 큰 타격을 입은 것은 롯데로, 고(故) 신격호 명예회장이 1948년 일본에서 사업을 시작했다는 점과 롯데그룹의 지배구조가 드러난 영향으로 불매운동의 주요 타겟이 됐다.

특히 롯데쇼핑은 불매운동의 직격탄을 맞아 불매운동 직후인 지난해 3분기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56% 감소한 876억 원에 그쳤다. 편의점 세븐일레븐도 일본 브랜드라는 소문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코리아세븐은 한국 기업으로, 미국 세븐일레븐과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하고 있다"고 적극 해명했지만 불매운동을 피해가지 못했다. 롯데그룹도 "롯데는 한국 기업"이라고 적극 해명에 나섰지만 계열사 곳곳에서 타격을 입어 어려움을 겪었다.

한국미니스톱 역시 불매운동 여파로 지난해 부진한 성적을 기록했다. 이곳의 작년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9.4% 감소한 1조1천953억 원에 그쳤다.

닌텐도 스위치 동물의 숲 에디션  [사진=닌텐도]
닌텐도 스위치 동물의 숲 에디션 [사진=닌텐도]

하지만 일본 게임업체 닌텐도가 만든 '동물의 숲' 게임처럼 대체품이 없는 일부 상품들은 타격을 전혀 받지 않아 일본 불매운동에 대한 진정성은 의심받고 있다. '동물의 숲' 게임은 출시되자마자 이를 구하기 위해 매장마다 수 백명이 줄을 설 정도로 인기를 끌었다. 또 온라인 중고거래 사이트에선 10만~30만 원 가량 웃돈이 붙어 거래될 정도였다. 닌텐도 콘솔 게임기 '스위치'도 덩달아 지난 1분기 동안 판매량이 전년 동기 대비 30.4% 늘었다.

업계 관계자는 "선택적 일본 제품 불매운동은 주로 가격이 저렴한 소비재를 중심으로 여전히 진행되고 있어 타겟이 된 일부 특정 브랜드들의 어려움은 갈수록 더해지고 있다"며 "개인의 욕구 충족을 위한 소비 선택을 강요할 수 없지만 주관적 기준에 따른 '선택적 불매운동'으로 진화한 것은 다소 씁쓸한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불매운동은 강요할 수 없는 일로 일단 개개인의 선택을 존중하는 것이 중요한 듯 하다"면서도 "한일 양국간 관계가 개선되지 않는 한 당분간 일본 불매운동이 계속될 것으로 보이는 만큼 소비자들이 상품을 구매하기 전에 한 번 더 생각하는 자세는 필요할 듯 하다"고 밝혔다.

장유미 기자 sweet@inews24.com








alert

댓글 쓰기 제목 [日수출규제 1년 ⑤] 'NO 재팬'에 우는 '유니클로' vs 여유만만 'ABC마트'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