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혁신당 이준석 의원이 지난 4일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의 엔비디아 발언과 관련해 입장을 밝히고 있다. 2025.3.4 [사진=연합뉴스]](https://image.inews24.com/v1/e763c912003b7d.jpg)
[아이뉴스24 김주훈 기자] 개혁신당 선거관리위원회가 7일 당내 예비경선 후보 등록을 공식화한 가운데, 경선 시작 전부터 내부 파열음이 터져 나오고 있다. 예비경선 투표에서 지지율 '77%'를 얻는 후보가 나올 경우 곧바로 대선후보로 확정한다는 규정 때문이다. 이준석 의원이 사실상 유력 대선주자인 상황에서 "경선 의미가 있느냐"는 불만이 나온다.
당은 이날 공지를 통해 7일~10일까지 나흘간 당내 예비경선 후보 등록을 받는다고 밝혔다. 당 선관위는 예비경선 슬로건을 '개혁신당 777 예비경선, 개혁신당이 국민과 함께 만드는 기적의 시작'으로 확정하는 등 본격적인 대선 경선 레이스를 공식화했다.
당 선관위는 지난해 4·10 총선 당시 개혁신당이 '기호 7번'을 달았음에도 3석을 확보한 만큼, 숫자 '7'의 의미를 이번 경선에서 활용했다. 이에 따라 경선 예비후보 기탁금은 777만원으로 결정됐고, 컷오프 기준도 7%로 설정했다. 대선 후보를 최대한 신속하게 선출해 당을 대선 모드로 전환시키겠다는 전략으로 읽힌다.
문제가 된 것은 '77% 유효득표자' 규정이다. 당 선관위는 컷오프 규정에도 불구하고 77% 유효득표자가 나올 경우 본경선 없이 후보로 최종 확정하겠다는 방침을 세웠다. 예비 후보들은 10분 이내 '정책·비전 영상'을 통해 전 당원을 대상으로 투표(K-Voting)를 받는다.
당 내에서는 이 규정이 다른 후보들 참여를 사전에 차단하고 사실상 이 의원을 대선후보로 조기에 굳히기 위한 꼼수라는 비판이 나온다.
![개혁신당 이준석 의원이 지난 4일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의 엔비디아 발언과 관련해 입장을 밝히고 있다. 2025.3.4 [사진=연합뉴스]](https://image.inews24.com/v1/3cfcd14b4f33cc.jpg)
대선 출마를 시사한 양향자 전 원내대표는 이날 <아이뉴스24>와의 통화에서 "후보를 받는 의미가 없다. 국민 경선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국민적 관심을 얻으려면 (국민 경선을 통해) 순위도 정하는 등 긴장감을 줘야 하는 것 아닌가"라면서 "(당이 너무) 조급한 것 같다"고 지적했다.
그는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 결과가 나오지도 않은 상황에서 예비 경선을 추진하는 것도 섣부르다고 했다. 양 전 원내대표는 "충분히 숙고해서 (탄핵이) 결정된 다음에 (경선을)추진해야 한다. 당이 국민에게 신뢰를 받지 못하고 있는데, 이 엄중한 시기에 후보 등록을 하면 국민적 신뢰를 더욱 잃게 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반면 당 선관위는 '77% 유효득표자' 규정이 문제가 없다고 반박했다. 컷오프를 위한 예비 후보자 경선에서 특정 후보가 77% 이상 득표할 경우, 다른 후보의 득표율은 10%대 내외인 점에서 '본선 경선'을 하더라도 소위 '역전극'은 이뤄지기 어렵다는 취지다. 또 전 당원을 대상으로 투표하는 만큼, 이 의원이 77% 이상을 받지 못할 수 있다며 우려를 일축했다.
한 선관위 관계자는 통화에서 "(예비후보 경선에서) 특정 후보가 77% 이상을 받는다는 것은 (전 당원 지지가) 4분의 3을 넘는 것이고, 다른 후보는 10%대라는 것"이라며 "사실상 본선을 하더라도 (변동이 크지 않을 것이기 때문에) 본선을 하는 것이 의미가 있겠나"고 말했다.
또한 "투표 대상도 소위 충성도가 높은 으뜸 당원이 아닌 전 당원을 대상으로 넓혔다"며 "일반 당원 중에서도 다른 생각을 가진 분들도 있기 때문에 (이 의원이) 77%를 넘기지 못할 수 있다"고 했다.
탄핵 국면에서 예비 경선을 치르는 것이 조급하다는 지적에 대해선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국면(2017년 3월 탄핵 확정) 당시 정의당은 2월에 최종 후보가 결정됐고, 민주당도 2월에 후보 공고를 낸 바 있다"며 "우리 당이 현재 다른 당에 비해 빠를 수도 있지만, 2017년과 비교해선 빠른 것도 아니다"라고 반박했다.
이 관계자는 양 전 원내대표를 비롯해 당내 여러 인사가 출마를 망설이지 않았으면 한다고 밝혔다. 그는 "양 전 원내대표도 나오셨으면 좋겠고, 사실상 당내 국회의원 하신 분들이 소수이기 때문에 같이 나오면 풍성할 것 같다"고 했다.
/김주훈 기자(jhkim@inews24.com)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