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김동현 기자] 최근 소설가 한강이 한국인 최초로 노벨문학상을 수상했으나 한국 학생들의 독서량은 오히려 줄어들고 문해력 역시 약화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교육부에 따르면 지난해 초·중·고교생 1명이 1년간 학교 도서관에서 대여한 책은 17.2권이다. 이는 21.9권이던 지난 2014년에 비해 21.5% 줄어든 수치다.
같은 기간 학교 도서관의 학생 1인당 장서 수는 39.9권으로, 2014년(25.7권)보다 55.3% 증가했다. 학생 1인당 학교 도서관 자료 구입비 또한 2만657원에서 3만4407원으로 66.7% 증가했다. 국공립학교의 사서 교사 역시 519명에서 1570명으로 3배 이상 늘었다.
학생들이 점점 더 좋아지는 학교 도서관의 환경에도 불구하고 도서관을 찾지 않는 것으로 풀이할 수 있다.
아울러 문화체육관광부가 지난 4월 발표한 '국민 독서실태 조사'에서는 학생들의 연간 도서량이 지난해 34권인 것으로 확인됐다. 11년 전인 2013년 39.5권보다 13.9% 줄어들었다.
'책 읽는 것을 좋아한다'는 학생의 비율 역시 지난 2019년 43.7%에서 2021년 40%로 줄어들더니, 지난해에는 39.6%로 감소했다.
독서 대신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등에 시간을 더 할애하거나, 원하는 정보나 지식이 있다고 해도 디지털 매체로 편리하게 습득할 수 있어 굳이 독서하지 않는다는 점 등이 학생 독서량 감소의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이러한 독서량 감소와 관련해 교육부는 2028년까지 적용되는 '학교 도서관 진흥 기본계획'을 지난 3월 마련했다.
기본계획은 교육부가 사서 교사 정원을 지속해서 확대하고, 전문 연수 과정을 운영해 독서 교육을 강화하겠다는 것이 주요 골자다.
또한 '한 학기 한 권 읽기' 등 교과 독서 수업이 학생 독서 활동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학교 교육과정을 내실화하고, 독서교육 통합플랫폼인 '독서로' 등을 통해 학생 수준에 따라 맞춤형 독서 활동이 이뤄질 수 있도록 지원한다.
독서량 감소는 학생들의 문해력 저하 문제와도 직결된다.
교육부가 지난 6월 발표한 '2023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에 따르면 고등학생 2학년 중 국어 과목에서 '보통 학력 이상'을 획득한 학생은 2019년 77.5%에서 지난해 52.1%로 크게 줄어들었다. 중학교 3학년에서도 같은 기간 국어 과목서 '보통 학력 이상'을 획득한 학생 비율은 82.9%에서 61.2%로 감소했다.
반면에 국어 과목서 '기초학력 미달' 판정을 받은 학생 비율은 고등학교 2학년의 경우 같은 기간 4%에서 8.6%로 2배 이상 늘어났고 중학교 3학년 역시 4.1%에서 9.1%로 크게 올랐다.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교총)가 최근 전국 초·중·고 교원 5848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인식 조사 결과를 살펴보면 해당 학년 수준 대비 문해력이 부족한 학생의 비율이 '21% 이상'이라고 답한 교원이 절반 가까이인 48.2%였다. '31% 이상'이라는 답변 역시 19.5%를 기록했다.
또 '학생의 문해력 부족으로 난감했던 적'에 대해 물음에는 "사건의 '시발점'을 설명하는데 학생이 '선생님이 욕했다'고 하더라" "'중3이 수도 뜻을 몰라서 그 나라의 대표 도시라고 말해 줘야 했다" "이부자리가 별자리냐고 물어보는 학생도 있다" "세로로 서 있는데 왜 '가로등'이냐고 묻는다" 등의 토로가 쏟아지기도 했다.
/김동현 기자(rlaehd3657@inews24.com)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