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한국, 내년 2%대 저장세 지속


전자 외 건설·기계·석유화학 혼조세 전망

[박영례기자] 내년 우리나라 경제가 글로벌 경기침세가 이어지면서 2%대 저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됐다.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 등 수요증가로 전자부문의 호조세가 예상되나 건설, 기계, 석유화학 업종은 혼조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됐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3일 오후 여의도 한국화재보험협회에서 '2013년 경제·산업 전망세미나'를 열고 세계경제 및 국내경제, 각 산업별 동향을 점검했다.

이날 세미나에서 윤창현 금융연구원 원장은 "내년도 우리나라 경제성장률을 2.8%에 그칠 것"이라며 올해와 같은 저성장 추세가 지속될 것으로 내다봤다.

대외 불확실성이 여전한 가운데, 주요국의 성장세가 주춤하면서 우리나라의 수출 증가도 소폭에 그치고, 가계부채·부동산 시장 침체·청년실업 문제 등 구조적 문제로 인해 내수도 큰 성장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얘기다.

부문별로는 민간소비가 2.1%증가에 그치고, 실업률은 올해와 비슷한 3.3%, 소비자 물가 상승률은 2.6%로 올해 2.3%보다 다소 상승할 것으로 내다봤다.

글로벌 경기가 완만한 회복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되나 원화 가치 상승 등이 이어지는 등 산업별 영향은 엇갈릴 전망이다.

이성한 국제금융센터 원장은 "유럽 재정위기의 장기화, 미국의 재정절벽 회피 여부를 둘러싼 정책 불확실성 증대 등으로 세계 경기회복이 완만하게 진행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러나 이란 핵문제 등 중동 정세의 불확실성, 이탈리아·독일 총선 등 정치적 위험은 경기회복에 부정적 요인으로 꼽혔다.

여기에 경상수지 흑자기조 유지, 선진국의 양적완화 지속 가능성, 한국의 국가신용등급 상향으로 인한 투자 위험도 감소 등으로 외화유입이 증가, 환율 하락 압력은 높아질 것이라는 전망이다.

이창선 LG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내년중 연평균 원화환율은 달러당 1천원 중반까지 하락할 것"이라며 상반기중에는 1천원대 중후반에서, 하반기에는 1천원대 초중반 에서 등락을 거듭할 것으로 내다봤다.

◆자동차 공급과잉-전자 '스마트폰 태블릿PC' 효과

업종별 영향도 엇갈릴 전망. 먼저 자동차 산업은 내년 경기회복 지연으로 글로벌 신차판매 증가율이 3% 초반에 불과해 공급과잉 현상이 두드러질 것으로 전망됐다.

이에 따라 업계 내 구조조정 가능성도 제기되며, 성장보다는 효율성에 초점을 맞추는 한 해가 될 것으로 예상됐다.

반면 전자 산업은 보급형 스마트폰의 확산이 가속화되는 상황에서 국내 업체의 양적 성장이 확대돼 호조세가 예상됐다. 또한 윈도우8 기반 노트북의 태블릿PC화가 가속화되고, 미국 주택 경기의 회복세가 나타나며, 컴퓨터 및 가전 부문의 실적도 개선될 것으로 전망됐다.

건설, 조선,기계, 철강, 석유화학 업종은 혼조세를 보일 것이라는 전망이다. 건설 산업의 경우 중동, 아시아 및 중남미 시장 확대로 해외수주 실적은 개선될 것으로 전망됐으나, 국내에서는 주택부문의 L자형 침체가 가속화되고, 공공부문의 부진이 지속되는 혼조세가 나타날 것이라는 분석이다.

조선·기계 산업 역시 조선 산업 내 대형플랜트 발주 및 대형 컨선 발주 가능성이 점쳐지고 있으나, 기계 산업의 경우 신규제품 수요 보다는 유지·보수 수요가 더 큰 한 해가 될 것으로 예상됐다.

최근 글로벌 경기의 부진으로 어려움이 지속되고 있는 철강 산업의 경우 중국 신임 지도부의 정책 구체화에 힘입어 완만한 회복세가 예상되지만, 엔화 약세에 따른 일본 업체의 가격경쟁력 회복과 철강재 가격 하락 가능성 등이 위험요인으로 꼽혔다.

대외 불확실성으로 올해 실적이 좋지 않았던 석유화학 산업은 중국의 낮은 재고 수준 등에 힘입어 올해 대비 시황은 다소 개선될 것으로 보이나, 미국의 셰일가스 개발과 유가 하락 가능성 등은 우려요인으로 지적됐다.

이성한 국제금융센터 원장은 "불확실하고 불안정한 경제환경 하에서는 우리 기업들이 단기 위기 대응능력을 먼저 높이고, 기업 체질개선 및 장기전략의 재편성·대내외 관계 강화 등의 전략을 구사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정병철 전경련 상근부회장은 "내년 경제상황도 쉽지 않겠지만, 기업은 수출과 투자에 적극 나서는 한편, 정부·정치권도 수출 및 투자, 일자리 창출을 위한 인센티브 제공을 통해 기업 활동을 적극 독려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박영례기자 young@inews24.com

2024 iFORUM






alert

댓글 쓰기 제목 한국, 내년 2%대 저장세 지속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