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혜경기자] 정치 테마주들의 주가와 기업실적을 조사한 결과, 실적이 나쁜 기업들의 주가가 그렇지 않은 기업들보다 더 좋은 비정상적 고평가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감독원은 주식시장에서 정치 테마주 131개사의 주가와 기업실적을 조사한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고 19일 발표했다.
금감원에 따르면 정치 테마주들의 주가는 작년 9월부터 급등을 시작했는데, 이들을 제외한 일반주 1천409개사 주가와 비교해 5월 현재 약 46.7% 고평가된 상태였다.
정치 테마주들 간에 비교에서는 작년 실적악화 기업 63개사의 주가 상승률은 무려 137%에 이르렀는데, 실적양호기업 68개사의 주가상승률 134%보다 높게 나타났다.
정치 테마주 전체(131사)의 시가총액은 작년 6월초 19조8천억원에서 테마주 쏠림 현상으로 최고 34조3천억원까지 급등한 후, 5월16일 현재 23조5천억원으로 감소한 상태다.
그러나 이들 중 92개사의 경우, 아직 시가총액이 20조원으로 작년 6월초 14조8천억원보다 높아 여전히 거품이 남아있다고 금감원은 지적했다.
특히 테마주 64개사에서 대주주 202인(특수관계인 포함)은 주가 급등시 약 6천406억원(1억2972만주)에 달하는 주식을 매도해 현금을 챙겼다. 대주주가 100억원 이상 매도한 17개사 중 14개사는 주가급등 사유에 대해 '이유없음'이라고 조회공시에 답한 후, 보유주식을 매도하는 행태를 보였다.
금감원은 "테마주는 지나치게 고평가되어 있으며, 실적과 아무 관계없이 오르는 이상현상을 보인다"며 "상당수 테마주의 주가가 여전히 고평가 상태로 추가 하락 여지가 충분히 남아 있다"고 경고했다.
또한 "많은 테마주의 대주주가 자사의 보유주식을 매도했다는 것은 이들의 도덕적인 문제와 별개로 테마주의 주가가 허상에 불과할 수 있다는 의미"라며 테마주 투자에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한편, 금감원은 테마주특별조사반을 지난 5월에 상설조직으로 전환하고 다수 테마주에 대한 기획조사를 진행 중이다. 특히 대주주와 시세조종 세력과의 연계여부 등도 집중 조사할 예정이다.
/이혜경기자 vixen@inews24.com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