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경주 국립공원 산사태 피해지 범정부 협업 피해 예방·복구 총력


[아이뉴스24 류한준 기자] 정부 당국이 경주 국립공원에 발생한 산사태 피해지 24개소를 신속히 복구하기 위해 범정부 협업으로 피해복구에 총력을 다하고 있다고 27일 밝혔다. 산사태 대응 관계기관인 행정안전부, 환경부, 국가유산청, 산림청, 경상북도, 경주시, 국립공원공단은 협업체계를 구축하고 지난달(5월) 15일부터 17일까지 합동조사를 실시했다.

이 자리를 통해 산사태 발생 위치와 피해규모를 파악하고 응급 복구 계획을 수립했다. 정부는 우선 산사태 발생지역의 2차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식생네트를 깔아 추가침식을 막고 탐방객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통제난간을 설치했다.

이달(6월) 기준 석굴암 뒤쪽에서 발생한 피해지에는 토석류 방지망을 설치 중이다. 하류 구간에 설치된 사방댐은 물이 잘 흐르도록 보수했다.

경주 불국사 대상 산사태 대피 훈련과 재난교육을 실시하는 장면. [사진=산림청]
경주 불국사 대상 산사태 대피 훈련과 재난교육을 실시하는 장면. [사진=산림청]

산사태 피해지 범정부 협업 과정 중 하나인 태양광원격재난방송기기. [사진=산림청]
산사태 피해지 범정부 협업 과정 중 하나인 태양광원격재난방송기기. [사진=산림청]

여름철 인명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대피장소 지정, 비상연락망 구축, 마을 담당공무원 지정, 비상방송용 스피커 보급, 대피훈련과 산사태 예방교육도 실시하며 주민대피체계도 재정비 했다. 또한 산사태 복구와 예방을 위해 돌과 흙을 막아주는 사방댐 10개소와 산지 비탈면에서 돌과 흙이 떨어지는 것을 예방하는 산지사방 등을 올해부터 연차적으로 시행한다.

비가 내릴 때 강우량 관측 사각지대 정밀 관측을 위해서는 자동기상관측시설을 설치했다. 이를 경주시에 제공해 주민대피 등을 결정하는 상황판단 자료로 활용하도록 할 예정이다.

각 관계기관에서는 복구사업이 신속히 이행될 수 있도록 부처협업으로 인·허가 등 행정처리기간을 최소화 한다. 비가 내릴 것으로 예보될 경우 주 1회 이상 현장 모니터링과 드론, 인공위성 자료 등을 활용한 모니터링으로 산사태 위험여부를 선제적이고 체계적으로 관리할 계획이다.

경주 국립공원은 토함산 지구 외 국립공원 구역에도 산사태 위험 요소가 있는지 현장조사를 지속적으로 시행할 계획이다. 정부는 "이번 산사태 피해지를 신속하게 복구하고 국민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범부처가 총력을 다하고 있다"며 "특히 다중이용시설과 주민 생활권 주변에서 재난이 발생하지 않도록 사전점검과 피해예방 체계를 더욱 공고히 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경주 국립공원 산사태 피해지 범정부 협업 중 하나로 진현동에서 진행되고 있는 사방댐 준설과 계류정비 작업. [사진=산림청]
경주 국립공원 산사태 피해지 범정부 협업 중 하나로 진현동에서 진행되고 있는 사방댐 준설과 계류정비 작업. [사진=산림청]

/류한준 기자(hantaeng@inews24.com)








alert

댓글 쓰기 제목 경주 국립공원 산사태 피해지 범정부 협업 피해 예방·복구 총력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