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대구시의회, 현 정부 1호 ‘지방주도형 투자·일자리 사업’ 성과 현장 점검


경제환경위원회, ㈜대동모빌리티 현장 찾아 사업 추진 현황 점검

[아이뉴스24 이창재 기자] 대구시의회 경제환경위원회(위원장 이태손)가 18일 달성군 국가산단 내 위치한 ㈜대동모빌리티 제2공장을 찾아 현 정부 1호 ‘지방주도형 투자‧일자리 사업’으로 추진 중인 상생협력 사업의 성과를 점검하고 사업 관계자들을 격려했다.

㈜대동모빌리티는 대구에 본사를 둔 국내 농기계 1위 기업인 ㈜대동의 자회사로 전기바이크, 골프카트, 소형트랙터 등을 주로 생산하는 회사다.

대구시의회 경제환경위 소속 시의원들이 대동모빌리티 공장 현황을 경청하고 있다. [사진=대구시의회]
대구시의회 경제환경위 소속 시의원들이 대동모빌리티 공장 현황을 경청하고 있다. [사진=대구시의회]

스마트 모빌리티 분야 사업 확장을 위해 1814억원 규모의 지역 투자 계획을 세워 2022년 11월 대구공장을 준공했고 같은 해 12월 현 정부 1호 지방주도형 투자‧일자리 사업 대상기업으로 선정, 지난해부터 대구시와 국가의 다양한 지원을 받고 있다.

이날 현장을 찾은 박종필, 윤권근, 하병문, 조경구 시의원들은 대구시와 ㈜대동모빌리티 관계자로부터 사업의 추진 현황과 성과를 보고 받고, 시의회 차원의 지원 방안을 논의했다.

이들은 “지역에 대한 대동모빌리티의 투자와 대구시의 각종 지원 정책이 기업의 성장과 양질의 일자리로 이어질 수 있어야 한다”며 “대구시는 기업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여 다양한 기술지원과 기업에 필요한 지역 인재 육성 등 종합적인 패키지를 제공하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이태손 경제환경위원장(달서구4)은 “민선 8기 핵심 신산업인 모빌리티 분야에서 현 정부 1호 투자‧일자리 사업이 선정된 것은 국가와 지역의 역량을 결집하여 제대로 된 대구의 미래 먹거리를 만들어 내라는 뜻”이라며 “대동모빌리티가 대구에서 모빌리티 분야의 앵커기업으로 자리잡아 지역 경제성장을 견인할 수 있도록 시의회에서도 관심을 갖고 살펴보겠다”고 말했다.

대구시의회 경제환경위 소속 시의원들과 대동모빌리티2공장 관계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대구시의회]
대구시의회 경제환경위 소속 시의원들과 대동모빌리티2공장 관계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대구시의회]

한편, ‘지방주도형 투자‧일자리 사업’은 산업통상자원부 주관으로 노‧사‧민‧지자체가 상생협약을 통해 신규 투자 유치와 고용 창출을 도모하는 사업이다.

기술경쟁력을 갖춘 중견기업은 지방세 감면, 지방투자촉진보조금 지원 등 국가와 지자체의 지원을 통해 대기업으로의 성장 계기를 마련하고 지방은 기업의 투자를 유치하여 일자리를 창출하는 선순환을 만들어 내는 것이 사업의 목표다.

㈜대동모빌리티의 2023년 말 기준 매출액은 2144억원, 직원 수는 420명(안성공장 포함)이다.

대구에는 ‘지방주도형 투자‧일자리 사업’을 통해 2026년까지 1814억원을 투자하고 302명의 정규직 일자리를 창출할 계획이다. 2024년 5월까지 876억원을 투자했고118명의 신규 고용 성과를 나타냈다.

/대구=이창재 기자(lcj123@inews24.com)








alert

댓글 쓰기 제목 대구시의회, 현 정부 1호 ‘지방주도형 투자·일자리 사업’ 성과 현장 점검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