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SK온, 이온전도도 10배 높인 고체 배터리 소재 개발


상온 구동·고속충전 성능∙화재 안전성 확보

[아이뉴스24 홍성효 기자] SK온이 상온에서도 구동할 수 있는 리튬메탈 배터리용 고분자 전해질 공동개발에 성공했다고 17일 밝혔다.

SK온 CI(왼쪽)와 UT Austin 로고. [사진=SK온]
SK온 CI(왼쪽)와 UT Austin 로고. [사진=SK온]

SK온은 굿 이너프 교수의 제자인 하디 카니 교수 연구팀과 신규 고분자 전해질인 'SIPE(single-ion conducting polymer electrolyte)'를 개발했다. 해당 연구는 전기화학 분야의 권위 있는 학술지 '일렉트로케미컬 소사이어티'에 게재됐다.

고분자 전해질은 가격이 저렴하고 제조가 용이해 차세대 고체 배터리 소재로 각광받는다. 하지만 산화물계, 황화물계에 비해 이온전도도가 낮아 70~80°C의 고온에서만 구동하는 점이 극복해야 할 과제 중 하나로 여겨진다.

SIPE는 이온전도도와 리튬 이온 운반율을 개선해 이를 해결했다. 기존 고분자 전해질 대비 상온 이온전도도를 약 10배(1.1x10-4S/cm)까지 끌어올렸으며, 리튬 이온 운반율 역시 0.2에서 0.92로 5배 가까이 늘렸다. 이는 상온 구동이 가능한 배경이다.

리튬이온 전도도와 리튬 이온 운반율이 높아지면 배터리 출력·충전 성능 또한 향상된다. 실제 SIPE를 적용한 배터리는 저속 충방전(0.1C) 대비 고속 충방전(2C)시 배터리 방전 용량이 77%로 유지됐다. 고체 전해질은 이온 전도도가 낮아 고속 충전시 방전 용량 저하가 두드러지는데, 이를 최소화한 셈이다.

고체 전해질 계면 안정성을 높여 덴드라이트 형성을 억제한 점도 주목할 만하다. 리튬메탈 배터리는 음극으로 흑연이 아닌 금속 리튬을 사용해 에너지 밀도를 대폭 높일 수 있다. 다만, 상용화를 위해서는 고질적 덴드라이트 현상 해결이 필수적이다.

이 밖에도 SIPE는 높은 기계적 내구성을 갖춰 대량생산이 가능하며, 열적 안전성이 우수해 250℃ 이상 고온에도 견딜 수 있다. 차세대 복합계 고체 배터리에 적용할 경우 충전 속도와 저온 성능을 개선할 것으로 기대된다.

김태경 SK온 차세대배터리센터장은 "이번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고분자 전해질을 적용한 고체 배터리 개발에 한층 속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SK온은 신규 소재 기술 경쟁력을 바탕으로 향후 차세대배터리 분야의 성장 기회를 선점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홍성효 기자(shhong0820@inews24.com)








alert

댓글 쓰기 제목 SK온, 이온전도도 10배 높인 고체 배터리 소재 개발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