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41% 성장' C커머스의 약진…韓 시장 빠르게 장악


글로벅 5대 기업 중 3곳이 중국

[아이뉴스24 송대성 기자]글로벌 전자상거래(이커머스) 시장이 중국 기업을 중심으로 성장하는 가운데 국내 유통 시장에서도 C커머스'(차이나+이커머스)의 약진이 두드러지고 있다.

알리익스프레스(좌)와 테무 CI. [사진=알리익스프레스, 테무]
알리익스프레스(좌)와 테무 CI. [사진=알리익스프레스, 테무]

17일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가 공개한 '최근 5년간 글로벌 이커머스 시장 현황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시장 규모가 2018년 2조9000억달러에서 지난해 5조8000억 달러로 5년 만에 2배 수준으로 성장했다.

글로벌 연평균 성장률은 14.6%로 이는 전체 소매업 성장률 4.4%와 비교해 3.3배에 해당할 정도로 엄청난 성장을 보였다.

특히 징동닷컴과 알리바바, 테무 모기업 핀둬둬 등 C커머스 '빅3'의 성장세가 도드라졌다. 이들의 최근 5년간 매출액 연평균 성장률은 41.0%로 세계 전자상거래 연평균 성장률보다 2.8배나 높았다.

매출 순위 1위는 미국의 아마존이 차지한 가운데 징동닷컴, 알리바바, 핀둬둬 등 중국 기업이 2~4위에 자리했다. 한국 기업에서는 쿠팡이 5위로 가장 높은 순위를 보였다.

이같은 변화는 국내 이커머스 시장에도 영향을 미쳤다. 한국이 지난해 C커머스 플랫폼을 통해 구매한 액수는 전년 대비 121.2% 늘어난 3조3000억원으로 미국(1조9000억원)을 상회했다. 중국 구매액이 미국을 앞지른 것은 작년이 처음이다.

C커머스의 가파른 성장세 속에 한국의 해외 전자상거래는 2021년을 기점으로 구매액이 판매액을 앞질러 적자를 기록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적자 규모가 5조1000억원에 달했다.

국내 이커머스 플랫폼 순위를 월간 사용자 수 기준으로 살펴보면 C커머스는 11번가와 G마켓 등 국내 플랫폼을 이미 넘어섰다. 지난해 1월 5위권 순위에서 중국 플랫폼은 알리익스프레스(5위)가 유일했지만 지난달의 경우 알리익스프레스(2위)와 테무(4위)가 이름을 올렸다.

한경협은 중국 플랫폼이 국내 시장을 빠르게 장악하는 상황에서 규제 중심의 유통 정책 개선과 소비자 보호 강화, 국내 중소 유통·제조사 지원 등 대응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고 분석했다.

한경협 관계자는 "국내 유통 기업의 활동을 제한해 역차별 논란이 있는 규제 중심의 유통산업발전법을 경쟁력 강화 중심으로 개선해야 한다"며 "대형 마트와 준대규모 점포는 유통산업발전법에서 공휴일 의무휴업과 영업시간을 제한받고 있고 온라인 구매 배송도 동일하게 규제받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몸에 해로운 식·의약품과 가짜 상품, 청소년 유해 매체, 개인정보 침해와 같은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외국 플랫폼의 소비자 보호 의무 이행현황 점검을 강화해야 하고 정보 유출 우려도 존재한다"고 덧붙였다.

/송대성 기자(snowball@inews24.com)








alert

댓글 쓰기 제목 '41% 성장' C커머스의 약진…韓 시장 빠르게 장악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