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반도체 수출 ↑ 소비재 수입↓ …12개월 연속 무역흑자


5월 수출 581.5억불(반도체 54.5%↑), 수입 531.9억불(소비재 20.4%↓)

부산 남구 신선대 부두에서 컨테이너 선적 및 하역작업이 진행되고 있는 모습. [사진=뉴시스]
부산 남구 신선대 부두에서 컨테이너 선적 및 하역작업이 진행되고 있는 모습. [사진=뉴시스]

1일 산업통상자원부가 잠정 집계한 자료에 따르면 5월 수출은 전년대비 11.7% 증가한 581.5억 달러, 수입은 2.0% 감소한 531.9억 달러로, 무역수지는 49.6억 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5월 수출액은 22년 7월(602.4억 달러) 이후 22개월 만의 최대 실적이다. 조업일수를 고려한 일평균 수출도 26.4억 달러로 22년 9월 이후 20개월 만의 최대치를 기록했다.

2024년 5월 수출입 동향 [사진=산업통상자원부]
2024년 5월 수출입 동향 [사진=산업통상자원부]

5월 15대 주요 품목별 수출액(억달러) 및 증감률(%) [사진=산업통상자원부]
5월 15대 주요 품목별 수출액(억달러) 및 증감률(%) [사진=산업통상자원부]

품목별로는 15대 주력 수출품목 중 11개 수출이 증가했다. 최대 수출 품목인 반도체 수출이 전방산업 수요확대와 메모리 가격 두 자릿수 상승에 힘입어 54.5% 증가(113.8억 달러)하는 등 IT 전 품목이 3개월 연속 증가했다. 디스플레이 수출은 16.3억 달러(15.8%↑)로 올해 가장 높은 실적을 기록했으며, 컴퓨터SSD 수출은 22년 12월 이후 17개월 만의 최대실적인 10.4억 달러(48.4%↑), 무선통신기기는 12.5억 달러(+9.4%↑)로3개월 연속 증가했다.

자동차 수출은 역대 5월 중 최대치인 64.9억 달러(4.8%↑), 선박 수출은 20.6억 달러(108.4%↑), 바이오헬스 수출은 12.9억 달러(18.7%↑)를 기록했다.

지역별로는 9대 주요 수출지역 중 7개 지역 수출이 증가했다. 대(對)중남미 수출이 가장 높은 증가율(25.5%↑)을 보인 가운데 대(對)중국 수출은 22년 10월(122억 달러) 이후 19개월 만의 최대 실적인 113.8억 달러(7.6%↑), 대(對)미국 수출은 역대 5월중 최대 수출실적인 109.3억 달러(15.6%↑)를 기록했다.

5월 수입은 531.9억 달러로 2.0% 감소했다. 원유(6.7%↑), 가스(7.1%↑) 등 에너지 수입액이 117.0억 달러로 0.3% 증가했으나 에너지를 제외한 수입이 2.6% 감소(414.9억 달러)했다. 비에너지 중에서도 특히 반도체(13.8%↑), 납사(22.8%↑) 등 수출과 밀접한 중간재보다 자동차(11.0%↓), 패션의류(2.5%↓) 등 소비재 수입(20.4%↓)이 주로 감소했다.

이로써 5월 무역수지는 전년 동기 대비 71.5억 달러 개선된 49.6억 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20년 12월(+67억 달러) 이후 41개월 만의 최대 규모, 12개월 연속 흑자기록이다.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우리 경제의 펀더멘털이 견고하게 유지되고 있으며, 수출이 작년 하반기부터 우리 경제성장을 최전선에서 견인하고 있다”고 평가하고 “수출이 연말까지 우상향 흐름을 지속하면서, 역대 최대 실적 달성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정부도 모든 가용한 역량을 집중해 민관 원팀으로 총력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최상국 기자(skchoi@inews24.com)








alert

댓글 쓰기 제목 반도체 수출 ↑ 소비재 수입↓ …12개월 연속 무역흑자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