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맞는 얘긴가?"…11번가의 쿠팡 고발 두고 '설왕설래'


"쿠팡이 밝힌 11번가의 수수료율 20%는 허위사실…3개 카테고리만 해당"
"과도하게 높은 수수료율 자인…매각 앞두고 쿠팡 때리며 존재감 과시" 분석도

[아이뉴스24 김태헌 기자] 11번가가 쿠팡의 오픈마켓 수수료율 적시행위를 공정거래위원회에 신고한 것을 두고 이커머스 업계에서는 논란이 일고 있다. 일부에서는 20%에 달하는 높은 수수료율을 스스로 밝힌 것 자체가 '황당한 일'이라는 반응도 나온다.

쿠팡은 최근 이슈화 된 '수수료율 45%' 지적을 반박하기 위해 이커머스 업계의 최대 수수료를 비교해 자사 뉴스룸에 게재했는데, 11번가는 이 발표가 표시광고법과 전자상거래법 위반 소지가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17일 이커머스 업계에 따르면 '최대 오픈마켓 수수료 20%'는 실재이며, 쿠팡도 자사를 포함해 일부 카테고리에 적용되는 '최대 수수료'만 뽑아 기재한 만큼 사실관계가 틀린 내용이 없다는 지적이 나온다.

일각에서는 "11번가가 쿠팡을 '저격'하면서 '반쿠팡 연대' 활동을 확대하기 위한 존재감 과시 차원의 신고 아니냐"는 분석도 나온다.

전라북도의 한 마을로 '로켓배송' 중인 쿠팡 차량. [사진=쿠팡]
전라북도의 한 마을로 '로켓배송' 중인 쿠팡 차량. [사진=쿠팡]

◇11번가 "쿠팡이 거짓으로 소비자 유인금지 위반" 주장

전날(16일) 11번가는 "쿠팡이 명확한 기준이나 객관적인 근거가 없이 극히 일부 상품에 적용되는 최대 판매 수수료만을 비교했다"며 쿠팡을 공정위에 신고했다고 밝혔다.

논란이 된 내용은 쿠팡이 지난 3일 자사 뉴스룸에 개재한 것으로 "쿠팡이 수수료 45%를 떼어간다는 주장은 명백한 허위사실로, 쿠팡의 수수료는 업계 최저 수준으로 최대 10.9%에 불과하다"는 내용이다. 이 게시물에는 SK 11번가(20%), 신세계 지마켓·옥션(15%) 등 타사 최대 판매 수수료를 밝히고 있다.

이에 대해 11번가는 "최대 판매 수수료만을 비교해 11번가의 전체 판매 수수료가 쿠팡에 비해 과다하게 높은 것으로 왜곡해 대중에게 공표했다"면서 "전체 판매 수수료가 높다는 오인의 소지를 제공해 거짓 또는 과장된 사실을 알리거나 기만적 방법으로 소비자 유인을 금지하는 전자상거래법을 위반한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11번가는 자사 최대 판매 수수료 20%(명목수수료)는 전체 185개 카테고리 중 3개(디자이너 남성의류·디자이너 여성의류·디자이너 잡화)에 한해 적용되고, 나머지 180개 카테고리 명목 수수료는 7~13%라고 밝혔다.

하지만 유통업계에서는 "11번가가 스스로 높은 수준의 판매 수수료율을 적용하고 있다는 것을 자인한 것"이라는 지적이 나왔다. 쿠팡 마켓플레이스 수수료율도 가구·생활용품 등 일부 카테고리를 제외하면, 가전디지털(5~6.8%)·출산·유아(6.4~9.8%)·스포츠(7.6~10.5%)·식품(5.8%~10.6%)·자동차 용품(6.8%~10%) 등 10%에도 미치지 않은 카테고리가 상당하다.

신세계 지마켓도 도서음반(15%)이 가장 높은 최대 수수료지만, 가공식품(13%)·가구(13%)·여행항공권(5~9%)·자동차 용품(9~13%), 출산·유아(7~13%) 등 낮은 수수료를 매기는 카테고리가 존재한다.

쿠팡 관계자는 "해당 공지는 각사의 공시된 자료를 기초로 작성됐고, '최대 판매 수수료'라는 기준을 명확히 명시하고 있어 문제가 없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각사 최대 판매 수수료 비교표. [사진=쿠팡]
각사 최대 판매 수수료 비교표. [사진=쿠팡]

◇매각 앞둔 11번가, 쿠팡 때려 '존재감' 과시하나

상황이 이러다 보니 업계 일각에서는 11번가가 이처럼 쿠팡의 발표 일부 내용을 두고 발끈한 이유에 대해 다양한 해석을 내놓고 있다.

11번가의 주장처럼 쿠팡이 사실을 왜곡해 고객을 끌어 모으려는 '반사이익'을 노렸다는 주장은 쿠팡과 11번가의 매출 규모는 물론 소비자 이용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설득력이 떨어진다는 것이다.

유통업계에서는 11번가가 이번 쿠팡에 대한 공정위 신고를 계기로 본격적인 '반쿠팡 연대' 활동에 나서는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내놓고 있다.

11번가는 지난 2022년 말 CJ제일제당의 쿠팡 납품 중단과 관련해 신세계와 네이버는 물론 11번가 슈팅배송 캠페인 등에 동참해 특가 판매와 신상품 론칭을 진행했었다.

11번가 관계자는 "기업 이미지 손상과 판매자, 고객 유치에 큰 영향을 주는 중대한 사안이라 판단해 신고를 결정했다"며 "공정위의 엄중한 판단을 통해 공정한 경쟁이 이뤄질 수 있는 올바른 시장 환경이 조성되길 바란다"고 전했다.

반면 쿠팡 관계자는 "해당 공지는 각 사의 공시된 자료를 기초로 작성됐고, '최대 판매수수료' 라는 기준을 명확히 명시하고 있어 문제가 없다"고 반박했다.

한편 11번가의 재무적 투자자(FI)인 나일홀딩스 컨소시엄은 최근 11번가 매각을 추진하고 있다. 매각 희망액은 5000억원대로 알려졌다. 이는 2018년 투자 유치 당시 기업가치(3조원 안팎)를 크게 밑도는 수준이다. 업계에서는 핵심 비즈니스 모델인 오픈마켓에 대한 민감도가 커지고 있다는 해석을 내놓고 있다.

/김태헌 기자(kth82@inews24.com)








alert

댓글 쓰기 제목 "맞는 얘긴가?"…11번가의 쿠팡 고발 두고 '설왕설래'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