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가계통신비가 비싼 진짜 이유는…"'디지털 서비스비'로 개념 바꿔야" [IT돋보기]


순수 '통신 이용료' 20% ↓…콘텐츠 서비스요금·단말요금은 2.6배·8배 ↑
"COICOP-K 등 콘텐츠 이용료 모두 포함한 새 표준 마련해야"

[아이뉴스24 박소희 기자] 가계통신비가 비싸다는 소비자 인식 개선을 위해 현행 통신비 개념을 디지털 콘텐츠 이용료를 포함한 '디지털서비스비'로 바꿔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실제로 지난 10년간 순수 통신 이용요금은 20% 감소했지만 콘텐츠 서비스 비용과 단말 비용은 각각 2.6배·8배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오후 국회 의원회관 제4간담회실에서 열린 '데이터로 보는 가계통신비 시사점 및 바람직한 정책방향' 토론회에서 참석자들이 기념촬영하고 있다. [사진=박소희 기자]
20일 오후 국회 의원회관 제4간담회실에서 열린 '데이터로 보는 가계통신비 시사점 및 바람직한 정책방향' 토론회에서 참석자들이 기념촬영하고 있다. [사진=박소희 기자]

곽정호 호서대 교수는 20일 오후 국회 의원회관 제4간담회실에서 국회 과학기술정보통신위원회(과방위) 소속 변재일 의원(민주당), 한국경영과학회 주최로 열린 '데이터로 보는 가계통신비 시사점 및 바람직한 정책방향' 토론회에서 이같이 밝혔다.

곽 교수는 '통계청 데이터로 보는 가계통신비 개념 재정립 필요성' 주제 발표를 통해 "소비자별 12개 항목으로 구성된 통계청 가계동향조사 중 '통신 지출'을 '가계통신비'라 지칭하는데 통신에만 포커싱되는 측면이 있다"면서 "디지털 대전환 시대의 흐름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했다고 본다"며 지적했다.

곽 교수는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등 뉴미디어 구독료 등 급증하는 디지털 콘텐츠 지출을 세부적으로 고려하지 못했다고 평가하며 지난 2018년 국제연합(UN)에서 발표한 새로운 통신 분류체계 'COICOP'을 소개했다.

새 기준에서는 '통신'의 개념에 디지털 기기와 콘텐츠 서비스가 모두 포함된다. 우리 정부도 새로운 국제 표준을 기반으로 국내 가계소비 특징을 더한 'COICOP-K'를 지난 2019년 고시한 바 있지만 계속해서 공표가 미뤄지고 있는 상황이다.

곽 교수는 COICOP-K를 참고해 새롭게 산정한 '디지털 비용'을 공개했다. 통계청 데이터를 토대로 분석한 결과 스마트폰이 본격 보급된 지난 2011년 이후 디지털 비용은 지난해 17만6973원이다. 이는 10년간 약 16% 증가한 수치다.

같은 기간 콘텐츠 이용료는 2824원에서 지난해 2만2084원을 기록해 10년간 8배 증가했다. 디지털 비용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7배 늘어났다.

반면 인터넷과 유선, 무선을 포함한 통신이용료는 오히려 20% 감소했다. 디지털 비용에서 차지하는 비용 역시 24.2%p 줄었다. 콘텐츠 이용료와 단말 비용 등을 제외한 '순수 통신비'는 오히려 감소했다는 것이다.

곽 교수는 "우리 사회가 디지털 사회로 변화하며 관련된 통계를 토대로 새로운 정책을 마련해야 할 때"라며 "단말이나 콘텐츠 플랫폼 이용지출을 모두 반영하는 방향이 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20일 오후 국회 의원회관 제4간담회실에서 열린 '데이터로 보는 가계통신비 시사점 및 바람직한 정책방향' 토론회에서 곽정호 호서대 교수가 발제하고 있다. [사진=박소희 기자]
20일 오후 국회 의원회관 제4간담회실에서 열린 '데이터로 보는 가계통신비 시사점 및 바람직한 정책방향' 토론회에서 곽정호 호서대 교수가 발제하고 있다. [사진=박소희 기자]

분류 체계에 대한 고민은 계속돼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변재호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연구전문위원은 "캐나다와 같이 디지털서비스를 통신비에 포함하게 되면 분류체계를 신중히 마련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곽규태 순천향대 교수는 "COICOP과 COICOP-K 분류 체계에도 차이가 있는데, 특히 가계통신비와 관련해서는 오락·문화비도 눈여겨봐야 한다"고 언급했다. 디지털 콘텐츠 서비스 비용에 통신사가 결합 상품으로 제공하는 서비스만 포함할지, 웹툰·오디오 스트리밍 등 이용자가 흔히 인식하는 콘텐츠 비용도 모두 포함할 것인지에 따라 비용 산정 결과가 다를 수 있다는 설명이다.

곽 교수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로 추진하더라도 문화체육관광부 및 관련 부처와 협의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정부 역시 새 표준 필요성에 공감했다. 이정순 과기정통부 통신이용제도과장은 "디지털 콘텐츠 관련 비용이 급증한 것은 사실"이라면서 "정책 추진에 있어 국민이 (이점을) 체감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검토가 있다고 본다"고 했다. 한편 COICOP-K는 오는 2025년 본조사 공표 예정이다.

/박소희 기자(cowhee@inews24.com)








alert

댓글 쓰기 제목 가계통신비가 비싼 진짜 이유는…"'디지털 서비스비'로 개념 바꿔야" [IT돋보기]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