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김지영 기자] 오는 2025년부터 일정 규모 상장기업들의 환경·사회·지배구조(ESG) 정보공시가 의무화된다. 업계 전문가들은 ESG공시가 시행되기 전, 정부의 컨트롤타워와 규제, 관련 법안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11일 오후 서울 영등포구 국회도서관에서는 '글로벌 ESG 공시 의무화와 한국기업의 대응전략 토론회'가 개최됐다.
이날 곽재원 전 경기과학기술진흥원 원장, 김진수 한양대학교 교수, 박천수 KB증권 전무, 김동양 NH투자증권 이사, 이보화 삼일PwC 파트너가 참석해 종합토론을 진행했다.
곽재원 전 원장은 "ESG에 대한 국가 전략적 컨트롤 타워가 아주 필요한 시점"이라며 "한국의 경우 부처별로 다 나뉘어 있어, 금융 정책과 산업 정책이 상당히 떨어져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누가 컨트롤할 것이냐를 봤을 때 민관합동 협의회는 의사결정을 하려고 정책을 추진하는 구조를 띄지 않는다"며 "ESG로 국가 전략, 경쟁력을 갖기 위해선 컨트롤타워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김 교수는 "사실 작년 겨울 전 세계적으로 전력 대란, 에너지 위기가 컸는데 한국은 겪지 않은 것처럼 지나갔다"며 "(실제론) 한국전력의 적자뿐 아니라 여러가지 위기를 숨겨놓은 것이고 언젠가는 터질 것"이라 지적했다.
이어 "이 정도의 미온적인 대처를 하면 언젠가는 굉장히 심각한 문제로 우리한테 다가올 것"이라며 "1, 2년 내로 다가올 문제"라고 짚었다.
또 김 교수는 해외 자동차 기업에 부품을 납품하는 회사가 ESG요건을 충족하지 못해 계약을 더 연장하지 못했다는 사례를 전했다.
그는 "산업 섹터에선 금융 섹터뿐만 아니라 굉장히 심각한 문제로 다가오고 있다"며 "ESG 공시 기준을 만족시키지 못한다면 우리나라가 현재 수입 소득으로 벌어들이고 있는 2천200조 중 절반 이상이 사라지게 될 것"이라고 일침을 가했다.
김 교수는 곽 전 의장이 제안한 ESG 컨트롤타워에서 보다 나아가 대통령 직속 혹은 총리실 산하에 컨트롤타워를 설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더불어 ESG와 관련된 제도 설립과 법제화가 필수적이라고 덧붙였다.
박천수 전무는 6.25와 IMF 사태 이후 경제 재건에만 집중해 ESG와 관련해서는 신경을 쓰지 못했던 현실을 돌아봤다.
그는 "한국의 경쟁력은 빠르게 전환하고 캐치업을 하는 것"이라며 "하지만 ESG에 대해선 느리다"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정부와 기업, 금융보험을 하는 투자자들이 공감대가 형성된다면 빨리 잡을 수 있을 것"이라며 "탄소 배출과 관련한 새로운 기술을 만들고 여러 에너지 스타트업들이 갖고 있는 탁월한 기술을 발현시킨다면 경쟁력을 가질 수도 있고 우리나라가 도약할 수 있는 기회가 되지 않겠나"고 제안했다.
김동양 이사는 ESG 공시 비용 부담을 짚었다. ESG 공시에 대한 비용 부담이 기업한테 가서는 안 되며 ESG 경영 환경이 바뀌는 것엔 동의했다. 더불어 ESG 공시와 관련된 경영 전문 인력이 필요하다고 호소했다.
이보화 파트너는 ESG 컨설팅을 오래하고 있는 입장이지만, 우리나라가 추구하는 ESG의 방향성은 모르겠다고 토로했다. ESG를 총괄하는 컨트롤타워가 없어서 방향성이 보이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이 파트너는 "ESG 데이터를 관리하고 있지 않은 대기업과 중견기업들이 회계 법인을 찾는 현실이 안타깝다"며 "ESG가 재무제표 감사를 받듯이 ESG 공시도 감사를 받는 시점이 올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어 그는 "하지만 공시 기준이 명확하지 않아서 감사나 인증에 대한 부분은 아직 수면 아래에 있다"며 "앞으로 기업들이 ESG공시를 어떻게 해나갈 수 있을지에 대한 논의가 더 필요한 상황"이라고 당부했다.
/김지영 기자(jy1008@inews24.com)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