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지금은 기후위기] 치솟는 지구 평균기온, 그 끝은 어디?


일일 평균 최고기온, 7월 들어 계속 무너져

유럽중기예보센터의 분석 자료를 보면 올해 5~6월 바다 수면온도가 1991~2020년 평균온도보다 급상승하고 있다. 올해 6월 전 세계 바다 온도 분포. [사진=WMO]
유럽중기예보센터의 분석 자료를 보면 올해 5~6월 바다 수면온도가 1991~2020년 평균온도보다 급상승하고 있다. 올해 6월 전 세계 바다 온도 분포. [사진=WMO]

[아이뉴스24 정종오 기자] 올해 6월은 기록상 가장 무더웠던 6월로 기록됐다. 여기에 전례 없는 바다 수면 온도, 적은 남극 바다얼음 분포 등 기후변화에 있어 최악의 상황을 맞고 있다. 인간 활동으로 배출한 온실가스 배출이 지구를 가열시키고 그 악영향이 고스란히 인간에게 되돌아오고 있다.

세계기상기구(WMO)와 유럽연합 코페르니쿠스 기후변화서비스는 최근 관련 보고서를 통해 “올해 6월 평균기온은 1991~2020년 6월 평균보다 약 0.5도 이상 상승했다”고 발표했다.

문제의 심각성은 여기에 그치지 않고 있다 일일 최고 평균기온이 하루 만에 다시 깨진 것도 충격적 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WMO 측은 “가장 무더웠던 올해의 6월 기온은 7월까지 이어지고 있다”며 “유럽중기예보센터(ECMWF)의 예비 데이터를 보면 7월 3일 지구 지상 평균 2m 온도는 사상 최고치인 16.88도에 도달했다”고 설명했다.

올해 6월은 지금까지 기록상 가장 무더운 6월로 기록됐다. [사진=WMO]
올해 6월은 지금까지 기록상 가장 무더운 6월로 기록됐다. [사진=WMO]

16.88도는 2016년 8월의 일일 평균 최고기록이었던 16.80도를 넘어서는 것이다. 7월 3일의 기록은 그 다음날 다시 깨져 버렸다. WMO 측은 “예비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7월 4일의 온도는 17.03도에 이르렀다”고 말했다. 아직 무더운 7월과 8월이 남아 있어 이 기록은 또 다시 깨질 가능성이 클 것으로 전망된다.

크리스 휴잇(Chris Hewitt) WMO 기후서비스 국장은 “6~7월 초의 이례적 폭염은 엘니뇨가 시작됐을 때 발생했다”며 “엘니뇨 발달은 육지와 바다 모두에서 더위를 더욱 부채질했고 더 극단적 기온과 해양 폭염으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분석했다.

문제는 이 같은 현상이 일시적 흐름에 머물지 않을 것이라는 데 있다. 엘니뇨(적도 태평양 온도 비정상적 상승)는 앞으로 더 발달할 것이고 이 영향으로 더 극단적 현상으로 이어지면서 2024년까지 영향을 끼칠 것으로 전망됐다.

올해 지구 바다 수면 온도는 5~6월 모두 사상 최고치를 기록한 것으로 진단됐다. 특히 북대서양의 전례 없는 해수면 온도 때문에 경보음이 울렸다고 휴잇 박사는 설명했다. 아일랜드, 영국과 발트해 주변에서 극심한 해양 폭염이 관찰됐다.

ECMWF 온도 기록을 보면 기록적 6월 기온은 유럽 북서부 전역에서 나타났다. 캐나다, 미국, 멕시코, 아시아, 호주 동부의 일부 지역은 평년보다 훨씬 더운 기온을 보였다.

올해 6월 북미 대부분 지역에서 평균보다 건조했다. 심각한 산불이 발생하고 지속하는 조건을 만들었던 셈이다. 러시아, 아프리카의 뿔, 대부분의 남아프리카, 남미, 호주 지역도 건조했던 것으로 분석됐다.

/정종오 기자(ikokid@inews24.com)








alert

댓글 쓰기 제목 [지금은 기후위기] 치솟는 지구 평균기온, 그 끝은 어디?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