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박진영 기자] 국내 인공지능(AI) 스타트업 업스테이지가 검색·추천 기능을 추가한 AI챗봇 아숙업(Ask Up) 서비스를 통해 챗GPT 등 초거대 언어모델의 한계를 극복하고 초거대AI 생태계에서 시장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이활석 업스테이지 최고기술책임자(CTO)는 오는 24일 '초거대 AI 시대: 챗 GPT와 미래 세상'을 주제로 서울시 중구 페럼타워에서 열리는 '2023 아이뉴스24 ICT 포럼(ICTF 2023)'에 앞서 진행된 사전 인터뷰에서 이같이 밝혔다.
업스테이지는 최신 정보를 기반으로 이용자에게 맞춤형 콘텐츠를 추전해주는 AI챗봇 서비스 '아숙업 서제스트(Askup Seargest)'를 최근 선보였다. 검색을 뜻하는 서치(search)와 추천을 의미하는 서제스트(suggest)를 합성해 만든 용어다. 이 서비스는 쇼핑, 여행, 영화, 서적을 포함한 다양한 사업군과 시나리오에 적용될 수 있다.
아숙업 챗봇에 대화 형태로 질문하면 AI가 최신 정보를 기반으로 이용자 특성에 맞는 답변을 제공하는 방식이다. 교보문고, 패스트캠퍼스 등 100여개 기업과 협력해 서비스 콘텐츠를 고도화하고 있다.
이 CTO는 오는 24일 ICTF 2023에서 ‘챗GPT의 현재와 미래, 그리고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주제로 챗GPT의 기술적 특징과 초거대언어모델(LLM) 기반 생태계의 미래에 대해 발표한다.
다음은 이활석 CTO와의 일문일답.
Q> 챗GPT 등 거대 언어 모델은 범용성은 있지만 최신 정보의 부족, 할루시네이션(맥락에 맞지 않는 잘못된 정보) 현상 등 한계가 존재한다. 이를 극복하고 기업들이 챗GPT를 잘 활용하는 방법은
A> 챗GPT의 활용 방안은 무궁무진하기 때문에 각 업무 별로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는 기업 스스로 탐구하지 않으면 알 수 없다. 단순한 범용 툴로 남들이 쓰는 방식대로 사용하는 것은 생산성 향상에 크게 도움이 되지 않는다.
챗GPT가 구축한 플러그인 등을 포함한 생태계 안으로 들어가는 것도 방법이 될 수 잇다. 현재 옵션은 플러그인 뿐이지만, 오픈AI는 챗GPT 활용 극대화를 위해 앞으로 더 다양한 솔루션을 내놓을 것이다.
대표적으로 파인튜닝(미세조정) 서비스에 참여하는 것이다. 네이버 하이퍼클로바X만 하더라도 초거대 언어 모델 자체를 고객 데이터로 파인튜닝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최신 정보 부족, 할루시네이션 등 한계점을 한번에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Q>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고 더 나은 서비스를 만들기 위한 AI스타트업 업스테이지만의 차별적 강점은 무엇이고, 현재 추진 중인 사업 모델에 대해 소개해달라
A> 챗GPT로 촉발된 초거대 언어 모델을 중심으로 한 생태계가 어떻게 변화할지 예의 주시를 하고 있다. 워낙 하루가 다르게 바뀌고 있기 때문에 방향성에 대해서 내부적으로 어느 정도 확신이 생긴 후에 본격적으로 뛰어들 계획이다.
이 변화를 누구보다도 빠르게 파악하기 위해 아숙업 서비스를 내놓았고, 현재 100만명이 넘는 사용자들의 이용 패턴을 분석하면서 어떤 사업 기회가 있는지 살펴보고 있다.
그 중 하나가 최근 공개한 추천·검색 서비스가 결합된 '아숙업 서제스트'다. 사용자가 챗GPT에 기대하는 것 중 추천·검색 서비스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을 뿐 아니라, 대화를 통해 개인을 파악할 수 있는 기회가 많기 때문에 사용자에 최적화된 추천·검색 서비스가 가능할 것이라 판단했다. 현재 교보문고 등 여러 기업들과 PoC(사업실증)를 진행 중이다.
Q> 최근 오픈AI의 GPT 4.0를 적용한 아숙업 서비스에 네이버, 카카오를 비롯해 구글, 메타 등 다른 초거대언어모델(LLM) 활용 가능성을 밝혔는데요.
A>현재 오픈AI의 GPT4.0의 가장 아쉬운 부분은 입력으로 넣어 줄 수 있는 단어의 개수다. 추후 긴 문장 입력이 지원 가능한 API(앱프로그래밍인터페이스)가 나온다면, 현재 저희가 고민하고 있는 문서 기반의 질의응답 서비스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텍스트 뿐만 아니라 이미지 등도 대응할 수 있는 멀티모달 LLM도 접근 가능하다면 조금 더 다양한 서비스나 사용 시나리오를 생각해 볼 수 있다.
물론, 가격도 중요한 이슈라 동일 성능에 더 값싼 API가 있으면 사용할 수 있다. 현재 아숙업 같은 경우 사용량이 많기 때문에 하루/한주/한달 단위로 사용할 수 있는 사용량에 대한 제한이 없는지도 중요한 요소다.
Q> 오픈AI의 챗GPT의 국내 확산을 비롯해 최근 구글 바드가 한국어를 제1외국어로 지원하면서 해외 빅테크 기업에 국내 AI기술력이 종속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A>외부에서 사용 가능한 기술은 오픈AI의 챗GPT와 구글의 바드 API 정도다. 지금은 선택지가 없으니 종속될 것처럼 보이지만, 국내 빅테크에서도 올해 하반기에는 오픈한다고 하니 기대하고 있다.
한편으로 오픈소스 진영도 활발히 움직이고 있어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오픈된 기술이 챗GPT수준에 점차 근접하고 있는 상황이다. 물론 기술이 챗GPT만큼 검증되지는 못했지만, 적어도 제한된 환경 내에서 파인튜닝을 잘 한다면 챗GPT이상의 품질을 보여줄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Q> 국내 AI 기업들이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추려면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 하나
A>초거대 언어 모델에 한해서는 완전히 동일한 제품으로 글로벌 기업과 경쟁한다면 쉽지 않을 것이다. 어떤 차별점을 가질 것인지, 아니면 완전히 다른 판을 짤 것인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이건 사실 검색 시장도 마찬가지였는데, 우리나라와 일본만 구글이 검색 시장을 점령하지 못한 유일한 나라가 된 것은 이런 고민 끝에 나온 좋은 결과였다고 생각한다.
현재 LLM 생태계가 이제 시작 단계인만큼 명확한 방향성은 아직 보이진 않는다. LLM자체는 기술이면서 서비스이면서도 생태계다. LLM기반의 서비스는 현재 챗GPT가 보여주는 형태 외에 다양하게 나올 수 있다.
검색도 검색 기술도 있지만, 결국 검색 서비스가 중요한 것처럼, 서비스를 먼저 고민하고 그에 필요한 LLM기술을 고민하는 게 맞는 방향이라고 본다.
/박진영 기자(sunlight@inews24.com)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