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단국대, 제주도·한국환경연구원과 기후위기 심포지엄


[아이뉴스24 김아라 기자] 단국대 통합환경관리 특성화대학원이 12일 라마다프라자제주호텔에서 탄소중립의 미래 방향성 모색을 위한 기후위기 심포지엄을 열었다.

이번 심포지엄은 '탄소중립의 지역화와 녹색전환을 위한 통합환경관리'란 주제로 기후적응, 탄소중립도시, 통합환경관리 등 3개 세션으로 나뉜다.

12일 라마다프라자제주호텔에서 탄소중립의 미래 방향성 모색을 위한 기후위기 심포지엄이 열리고 있다. [사진=단국대]
12일 라마다프라자제주호텔에서 탄소중립의 미래 방향성 모색을 위한 기후위기 심포지엄이 열리고 있다. [사진=단국대]

기후적응 세션은 ▲탄소중립과 지자체 국토-환경계획 통합관리(김태현 한국환경연구원 연구위원) ▲지자체 탄소중립 이행을 위한 도시계획 추진방향(박종화 국토연구원 부연구위원) ▲탄소중립과 미래신산업(김동주 제주도 미래성장과 미래전략팀장) 등 지역의 탄소중립 전략과 도시환경계획을 발표한다.

탄소중립도시 세션은 ▲탄소중립의 자연기반 해법(명수정 한국환경연구원 선임연구위원) ▲탄소중립을 위한 단지 및 건축계획적 노력과 성과(홍경구 단국대 교수) ▲우리나라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현황과 향후 과제(박성권 ㈜로엔 책임연구원) 등 탄소중립의 자연기반 해법과 기반기술을 발표한다.

통합환경관리 세션은 ▲녹색전환을 위한 통합환경관리제도(맹학균 환경부 통합허가제도과장) ▲통합환경관리 성과와 개선방안 제언(윤도영 광운대 교수) ▲통합환경관리 인허가 사례발표(류재광 ㈜대아이엔지 통합환경허가팀 차장) 등 녹색전환을 위한 통합환경관리의 중요성을 진행한다.

심포지엄 기조강연을 맡은 조명래 단국대 석좌교수(전 환경부장관)는 “정부의 2050 탄소중립 실천전략은 탈탄소기술 적용 등 기술기반 해법에서 장기적으로는 자연상태의 기후에너지 흐름을 활용한 기후탄력성 복원과 같은 자연기반 해법으로의 시스템 전환이 필요하다”며 탄소중립도시 조성을 위한 도시모델, 정책방향 및 과제를 제시했다.

독고석 단국대 통합환경관리 특성화대학원 사업단장은 “이번 심포지엄을 통해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전문가들의 심도있는 논의와 토론을 통해 향후 국내 기후변화와 관련한 정책 방향이 활발히 논의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심포지엄은 환경부, 제주특별자치도, 질병관리청, 한국환경공단, 환경보전협회가 후원하며 위성곤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 제주 서귀포시)이 축사를 맡았다.

/용인=김아라 기자(ara@inews24.com)








alert

댓글 쓰기 제목 단국대, 제주도·한국환경연구원과 기후위기 심포지엄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