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서민지 기자]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국정농단 사건 파기환송심에서 실형을 선고받으면서 삼성 내부가 큰 충격에 휩싸였다. 삼성은 일단 비상경영체제에 돌입했지만, 경영 불확실성이 커지는 상황 속 '총수 부재'라는 최악의 시나리오와 맞닥뜨리게 됐다.
삼성은 이 부회장이 처음 구속된 지난 2017년 2월 총수 중심 경영 체제에서 계열사별 전문경영인 체제로 전환한 바 있다. 1년 뒤인 2018년 2월 이 부회장이 집행유예로 풀려나면서 이 부회장과 전문경영인이 상호 보완하며 '뉴삼성'을 위한 발판 마련에 집중해왔지만, 다시금 위기에 직면한 셈이다.
서울고법 형사1부(부장판사 정준영 송영승 강상욱)는 18일 뇌물공여 등 혐의로 기소된 이 부회장의 파기환송심 재판에서 징역 2년 6개월을 선고하고, 법정 구속했다.
이 부회장은 3년여 만에 재수감하게 됐다. 앞서 이 부회장은 같은 사건으로 2017년 2월 구속된 뒤 2018년 2월 항소심에서 집행유예를 선고받으면서 풀려난 바 있다.
이에 따라 삼성은 3년 만에 또다시 '총수 부재'를 맞닥뜨리게 됐다. 이 부회장이 법정 구속되면서 삼성전자를 포함한 주요 계열사들은 전문경영인 체제로 전환하는 등 사실상 비상경영에 나섰다.
과거 삼성은 총수와 그룹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던 미래전략실, 계열사 전문경영을 중심으로 삼각편대를 이뤘었다. 그러다 이 부회장이 국정농단 사건에 연루되면서 미래전략실은 해체됐고, 새로 만들어진 사업지원 태스크포스(TF)가 계열사 간 조율이 필요한 사안을 지원했다.
정현호 사장이 이끄는 사업지원 TF가 그룹 전반을 조율하는 구심점 역할을 할 전망이다. 다만 적극적으로 그룹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관측이 대체적이다. 사업지원 TF는 미전실보다 역할·권한 등이 대폭 축소됐지만, 일부를 이어받으면서 사실상 미전실이 부활한 게 아니냐는 지적을 받은 바 있다.
재계에서는 총수 부재 속 단기적으로는 경영을 이어가는 데 무리가 없겠지만, 장기적으로는 동력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고 보고 있다. 삼성은 컨트롤타워 조직이 없기 때문에 총수 없이는 M&A 등 대규모 투자를 결정하기 어렵다.
실제 삼성전자는 '사법 리스크'로 인해 지난 2016년 하만 인수 후 굵직한 M&A를 추진하지 못하고 있다. 최근 반도체 경쟁사인 SK하이닉스를 비롯해 현대자동차, LG전자 등 대기업들이 미래 먹거리를 위해 M&A를 적극 추진하는 것과 다른 행보다.
인재 영입 등에도 차질이 생길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이 부회장은 최근 몇 년간 '미래 먹거리' 발굴을 위해 인재 발탁에 집중해왔다. 글로벌 인재유치 경쟁이 심화하는 가운데 이 부회장의 공백으로 차질이 불가피하다는 설명이다.
재계 관계자는 "과거와 달리 지금은 코로나19 속 경영환경이 급변하고 있어 기업이 경쟁에 뒤처질 경우 언제나 위기에 닥칠 수 있는 상황"이라며 "M&A 등을 통해 신성장동력 발굴에 적극 나서야 하는 시기에 총수 부재는 경영에 있어 큰 공백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서민지 기자 jisseo@inews24.com, 사진=조성우기자 xconfind@inews24.com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