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22년 8월 한국형 달궤도선 발사 정상 추진 중"


국내 최대 35미터급 심우주지상국 안테나 설치 완료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11일 SK브로드밴드 여주위성센터에서 심우주 안테나 반사판을 설치하는 상량식을 개최했다. [항공우주연구원]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11일 SK브로드밴드 여주위성센터에서 심우주 안테나 반사판을 설치하는 상량식을 개최했다. [항공우주연구원]

[아이뉴스24 최상국 기자] 2022년 8월 발사를 목표로 추진되고 있는 '한국형 달 궤도선'(KPLO, Korean Pathfinder Lunar Orbit)의 지상통신센터 역할을 할 심우주지상국의 안테나 설치가 완료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11일 오전 심우주지상국의 안테나 시스템 구축 부문을 담당하고 있는 SK브로드밴드 여주위성센터에서 국내 최대 35미터급 심우주 안테나 반사판을 설치하는 상량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2022년 3월 완공을 목표로 구축중인 심우주지상국은 약 38만4천400km 떨어진 달에서 운영될 한국형 달 궤도선과 통신하며, 실시간 상태를 확인하고, 달 궤도 진입 및 임무고도 유지를 위한 동작을 제어하며, 달 궤도선이 관측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등 달 탐사 임무 수행을 위한 핵심적인 역할을 하게 된다.

과기정통부와 항우연은 이 날 안테나 설치와 함께 심우주지상국 구축 계획이 목표 일정대로 정상 구축되고 있으며, 달 궤도선도 지난해 조정된 사업계획에 따라 설계를 마치고 총 조립에 정상 착수하는 등 22년 8월초 발사를 목표로 순조롭게 추진되고 있다고 밝혔다.

한국형 달 궤도선 이미지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한국형 달 궤도선 이미지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한국의 첫 번 째 우주 탐사선이 될 '달 궤도선'은 그동안 몇 차례나 일정이 바뀌는 등 우여곡절을 겪어 왔다. 지난해 9월 변경된 사업계획에 따라 달 궤도선의 목표중량은 당초 550kg에서 678kg으로 늘어났고 발사일정은 2020년 12월에서 2022년 8월로 연기됐다. 이후에도 미국 NASA와의 의견차이로 운용궤도가 타원형 궤도에서 원형궤도로 바뀌고, 달 궤도에 도달하기 위한 전이궤도도 위상전이궤도 방식에서 NASA가 제안한 BLT(Ballistic Lunar Transfer)궤도로 변경됐다.

사업예산도 당초 1천978억원에서 계획변경에 따라 2천255억원으로 늘어났는데, 이 예산은 내년에 사업여건에 따라 한 번 더 증액될 예정이다.

달 궤도선은 22년 8월 중에 발사되면 발사일과 상관없이 11월16일 달 궤도에 도착하며 23년 2월부터 1년간 달 100km 고도에서 임무를 수행하게 된다.

달 궤도선에는 향후 우리나라의 달 착륙선 착륙 후보지를 탐색할 고해상도카메라 (항우연), 달 표면 편광영상 확보·분석을 위한 광시야편광카메라(천문연), 달의 생성 원인 연구을 위한 자기장측정기(경희대), 달 표면의 자원 유무를 탐사할 감마선분광기(지질연), 심우주탐사용 우주인터넷 시험(ETRI) 등 국내 연구기관의 5개 탑재체와 NASA의 달 남극 유인착륙 후보지 검색을 위한 쉐도우캠이 탑재된다. NASA는 우리 궤도선에 달 극지방 고위도 영구음영지역을 촬영할 쉐도우캠을 탑재하는 대산 우리나라에 심우주항행기술, 심우주네트워크 무상사용 등을 지원한다.

최상국 기자 skchoi@inews24.com








alert

댓글 쓰기 제목 "22년 8월 한국형 달궤도선 발사 정상 추진 중"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