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환자 목숨까지 앗아간 랜섬웨어, 내년에도 가장 큰 보안위협


KISA '2021년 사이버 위협 시그널' 발표

[아이뉴스24 김국배 기자] '타깃 랜섬웨어' 공격이 내년에도 가장 큰 사이버 위협 중 하나가 될 것으로 보인다. 특정 브라우저로만 접속할 수 있는 다크웹에 유출된 정보를 악용한 2차 공격도 기승을 부릴 전망이다.

7일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은 사이버위협 인텔리전스 네트워크 등과 공동으로 이런 내용을 담은 '2021년 사이버 위협 시그널'을 발표했다.

사이버위협 인텔리전스 네트워크는 위협정보 공유 및 침해사고 대응을 위해 KISA와 NSHC, 빛스캔, 안랩, 이스트시큐리티, 잉카인터넷, 하우리 등 국내 보안업체가 운영하는 있는 협의체다.

[이미지=KISA]

KISA에 따르면 랜섬웨어는 전 세계적으로 가장 주목해야 할 사이버 위협으로 떠올랐다. 최근 이랜드그룹은 랜섬웨어 공격을 받아 NC백화점, 뉴코아아울렛 등 계열 유통매장이 영업을 조기 종료하는 상황이 발생했다. 일본 자동차 기업은 전 세계 11곳의 공장 시스템이 마비돼 출하가 일시 중단되는 일을 겪었었다.

독일의 한 대학병원에서는 랜섬웨어로 시스템이 마비되는 바람에 다른 병원으로 이송시킨 긴급 환자가 사망하는 사건이 벌어지기도 했다. 이송으로 인해 치료가 1시간 넘게 지연됐기 때문이다.

KISA 측은 "랜섬웨어는 더 이상 분야를 가리지 않고 대상을 표적 공격할 뿐 아니라 기업의 중요 정보, 고객 개인정보 및 결제정보를 가지고 협박하는 수단 또한 다양해질 것"이라며 "최신 보안 업데이트 조치, 불명확한 출처의 이메일·URL 링크 실행 주의 등 기본적인 보안 관리부터 백업체계 구축까지 철저한 보안 관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랜섬웨어 뿐 아니라 사회기반 시설 및 중요 인프라를 겨냥한 사이버 위협, 국가 지원 해킹 조직의 공격 등도 증가할 것으로 예측됐다. 클라우드 서비스나 비대면 환경 전환에 따른 보안 사각지대를 노리는 위협도 커질 수 있다. 또 5세대 이동통신(5G)를 이용한 사물인터넷(IoT) 제품의 활성화로 새로운 보안 위협이 대두될 것으로 예상된다.

/김국배 기자 vermeer@inews24.com






alert

댓글 쓰기 제목 환자 목숨까지 앗아간 랜섬웨어, 내년에도 가장 큰 보안위협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뉴스톡톡 인기 댓글을 확인해보세요.



포토뉴스
박찬대 원내대표 격려하는 이재명 대표
박찬대 원내대표 격려하는 이재명 대표
'비상계엄 해제한 국민께 드리는 감사문'
'비상계엄 해제한 국민께 드리는 감사문'
최상목 탄핵안 법사위 회부
최상목 탄핵안 법사위 회부
우원식 국회의장 대국민 특별담화
우원식 국회의장 대국민 특별담화
윤 대통령 탄핵 '인용'에 허탈한 尹 지지자들
윤 대통령 탄핵 '인용'에 허탈한 尹 지지자들
윤석열 파면 직후 용산 청사에서 내려지는 '대통령 상징' 봉황기
윤석열 파면 직후 용산 청사에서 내려지는 '대통령 상징' 봉황기
'윤석열 파면'에 분노하는 지지자들
'윤석열 파면'에 분노하는 지지자들
'윤석열 파면' 인사 나누는 국회측 변호인단
'윤석열 파면' 인사 나누는 국회측 변호인단
'윤석열 파면' 헌재 결정문 듣는 윤 대통령 변호인단
'윤석열 파면' 헌재 결정문 듣는 윤 대통령 변호인단
'윤석열 파면'에 분노하는 지지자들
'윤석열 파면'에 분노하는 지지자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