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파이어아이 "지난해 금전 탈취 목적 랜섬웨어 공격 ↑"


악성코드 41%가 신종…아태 지역 해킹 탐지까지 54일 걸려

[아이뉴스24 최은정 기자] 지난해 금전적 이익 취득을 목적으로 진행된 랜섬웨어 공격 사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파이어아이가 공개한 '2020 맨디언트 M-트렌드 보고서'에 따르면 회사의 침해 대응 조직인 맨디언트가 지난해 대응한 공격 중 금품 착취, 몸값 요구, 카드 도용, 불법 이체 등 재정 수익 획득 유형이 29%로 가장 높았다. 다음으로 데이터 탈취(22%)가 뒤를 이었다.

그 동안 개인·신용 카드 정보를 표적으로 삼아온 사이버 범죄 그룹 역시 수익 창출을 보조하는 수단으로 랜섬웨어를 이용하는 사례가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해 멀웨어 공격 활동 범주 [자료=파이어아이]

더불어 파이어아이는 이번 보고서에서 지난해 맨디언트가 관찰한 악성코드 중 41%가 이전에 존재하지 않았던 유형이라고 밝혔다. 확인된 샘플의 70 %는 오픈소스 툴을 기반으로 한 공격으로, 가장 빈번하게 볼 수 있는 다섯 가지 유형 중 하나에 속했다.

대다수의 새로운 멀웨어 유형이 윈도와 기타 플랫폼에 영향을 줬다는 점 또한 주목할 만 하다. 맨디언트는 리눅스 또는 맥(Mac)에만 영향을 미치는 새로운 악성코드 유형을 발견했다. 다만 이 활동은 아직까지 미미한 수준이라는 분석이다.

또한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경우 사이버 침해 사실을 내부 보안 팀이 알게 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이 평균 54일로 나타났다. 전년대비 73%나 줄어든 수치다. 이는 랜섬웨어 침해 건수가 늘어났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침해 흔적을 남기지 않는 해킹 공격이 있는 반면 랜섬웨어는 파일 등을 암호화시켜 침해 사실을 즉시 인지할 수 있다.

위르겐 커스처 파이어아이 서비스 제공담당 수석부사장은 "공격 그룹은 그 어느 때보다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으며, 목표를 더욱 확장시키고 있다"며 "이에 따라 조직은 방어체제를 지속적으로 구축하고 테스트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최은정 기자 ejc@inews24.com






alert

댓글 쓰기 제목 파이어아이 "지난해 금전 탈취 목적 랜섬웨어 공격 ↑"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뉴스톡톡 인기 댓글을 확인해보세요.



포토뉴스
'카이 쇼케이스 MC' 수호, 여전히 의리의리한 엑소
'카이 쇼케이스 MC' 수호, 여전히 의리의리한 엑소
엑소 카이, '웨이트 온 미' 믿고 보는 무대
엑소 카이, '웨이트 온 미' 믿고 보는 무대
카이, 군백기 걱정 없는 섹시 복근
카이, 군백기 걱정 없는 섹시 복근
'꽃보다 수호'
'꽃보다 수호'
엑소 카이, 군백기 끝! '웨이트 온 미' 강렬한 컴백
엑소 카이, 군백기 끝! '웨이트 온 미' 강렬한 컴백
[아이포토] 제61회 한국보도사진전 개막식
[아이포토] 제61회 한국보도사진전 개막식
투어스 '청춘의 청량감'
투어스 '청춘의 청량감'
투어스 경민, 미니 3집 많이 사랑해주세요
투어스 경민, 미니 3집 많이 사랑해주세요
투어스 도훈, 미니 3집 기대하세요
투어스 도훈, 미니 3집 기대하세요
투어스 한진, 진한 잘생김
투어스 한진, 진한 잘생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