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ESS 고강도 대책도 '백약이 무효'…또 터졌다


LG화학 오창공장 제품으로 확인…정부 부실조사 논란 커질 듯

[아이뉴스24 이영웅 기자] 국내 에너지저장장치(ESS)에서 화재가 또 발생했다. 시장 생태계가 고사위기에 처하자 국내 배터리업계가 자발적으로 고강도 대책을 내놓은 지 불과 1주일만이다. ESS 안전성 문제를 좀처럼 해결하지 못하면서 배터리 강국 위상이 급속도로 흔들리고 있다.

특히 이번 화재가 난 설비는 불량의혹이 제기됐던 LG화학의 남경공장이 아닌, 오창공장 제품으로 알려지면서 파장은 더 클 것으로 보인다. 이로써 올해 1월 구성돼 ESS 화재 원인 조사를 펼쳤던 민관합동 ESS 화재사고 원인조사위원회의 '부실조사' 논란도 함께 도마 위에 오를 전망이다.

22일 소방당국에 따르면 전날 오후 4시14분께 경남 하동군 진교면 관곡리 소재 태양광발전소 ESS 설비에서 화재가 발생했다. 폭발음과 함께 연기가 난다는 신고를 접수한 하동소방서는 한전 측에 요청해 ESS설비 주전원을 차단하고 소방차 12대 등을 동원해 1시간여 만인 오후 5시께 큰 불길을 잡았다.

소방당국은 ESS 리튬배터리의 경우 물을 뿌리면 폭발할 우려가 있어 진화에 어려움을 겪었다. 완전진화까지 총 5시간40여분이 걸렸다. 다행히 이번 화재로 인명피해는 없었지만, ESS실 28㎡와 태양광 모듈, 인버터 등이 불타 4억원 상당의 재산피해가 발생했다.

이번 화재는 지난 2017년 8월 전북 고창에서 첫 화재가 발생한 이후 무려 27번째다. 특히 LG화학 배터리가 사용된 경우는 이번 사고를 포함해 총 15건이다. 그동안 14건의 화재 모두 2017년 LG화학의 중국 남경공장 제품으로 알려졌지만, 이번 화재 설비는 충북 청주 오창공장 제품으로 확인됐다.

배터리 업계는 비상이 걸렸다. 정부와 업계의 자체조사와 고강도 대책을 내놓았지만, 화재는 좀처럼 잡히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앞서 민간합동조사위는 지난 6월 ▲전기적 충격에 대한 배터리 보호시스템 미흡 ▲운영환경 관리 미흡 ▲설치 부주의 등 복합적 원인으로 결론을 내린 바 있다.

여기에 LG화학 역시 지난 14일 남경산 배터리 ESS 가동률을 70%로 제한하고 모듈퓨즈, 랙퓨즈, IMD(자동전원차단장치) 등의 안전장치 설치 등의 내용이 담긴 고강도 대응방안을 밝힌 바 있다. 심지어 연말까지 화재 원인이 밝혀지지 않더라도 ESS 교체 등 자체리콜까지 검토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하지만 화재가 계속되면서 국내 ESS 시장은 급속도로 위축되고 있다. LG화학은 올해 ESS 화재관련 보상금과 충당금 등 일회성 비용만 3천50억원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 삼성SDI는 올해 상반기 기준, 국내 ESS 수주가 지난해 대비 절반 이상 감소했다.

업계 한 관계자는 이날 "우리나라는 정부의 보조금 정책 등으로 전세계 ESS 시장에서 1위를 기록 중이지만, 점차 보조금 정책이 폐지되고 있는 데 이어 화재까지 발생하면서 회생이 불가능해질 우려가 커졌다"며 "화재 원인을 반드시 규명해 에너지전환의 핵심인 ESS 생태계를 지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영웅 기자 hero@inews24.com




주요뉴스



alert

댓글 쓰기 제목 ESS 고강도 대책도 '백약이 무효'…또 터졌다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뉴스톡톡 인기 댓글을 확인해보세요.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