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3분기, 모바일 악성코드 공격 '극심'


조직 4분의 1 이상 모바일 공격 경험…포티넷

[아이뉴스24 성지은 기자] 올 3분기 모바일 이용 조직 4분의 1 이상이 악성코드 공격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포티넷 보안연구소 포티가드랩이 28일 발간한 '2018년 3분기 글로벌 위협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조직의 4분의 1 이상이 모바일 악성코드 공격을 경험했고 이들 대다수가 안드로이드 운영체제(OS)를 사용했다.

전체 악성코드 공격의 14%는 안드로이드와 연관된 반면, 전체 위협 중 단 0.0003%만이 애플 iOS를 타깃했다. 사이버 범죄자들은 모바일 기기가 침투하기 용이한 타깃이라는 점을 알고 이를 악용하고 있다는 게 포티가드랩 측 설명이다.

특히 개인이 소유한 스마트 기기로 회사 업무를 보는 BYOD(Bring Your Own Device) 환경이 확산되면서 모바일 기기를 대상으로 한 보안 위협이 커지고 있다. 아울러 대규모 연말 쇼핑 시즌이 다가오면서 모바일 쇼핑객을 대상으로 한 보안 위협도 부상하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사이버 범죄자들은 끊임없이 신종 공격 도구를 개발했다. 악성코드 변종은 43% 증가했고, 악성코드 변종군은 약 32% 증가했다. 이에 따라 기업에서 일일 탐지하는 악성코드 수는 62%상승했다. 이 같은 추세에 맞춰 고유 익스플로잇(취약점 공격도구)도 약 10% 증가했고, 기업당 익스플로잇 탐지 수는 37% 늘었다.

기업당 감염 일수는 7.6일에서 10.2 일로 34% 증가했지만, 악성코드 배포 등에 악용되는 좀비PC 네트워크 '봇넷' 탐지 지수는 단 2 % 상승했다. 이는 봇넷이 보다 정교해지고 탐지·제거가 어려워지고 있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사용자 PC 등 기기를 악성코드에 감염시켜 암호화폐 채굴에 동원하는 '크립토재킹'은 여전히 기승을 부렸다. 또 암호화된 트래픽이 전체 네트워크 트래픽의 72% 이상을 차지하면서, 기존 보안 솔루션으로 악의적인 활동을 분석하기 어려워졌다. 악성코드를 암호화해 트래픽에 숨겨서 배포해도 이를 분석하기 어려워졌다는 의미다.

필 쿼드 포티넷 정보보호최고책임자(CISO) 는 "이전에는 랜섬웨어가 기승을 부렸지만, 최근에는 크립토재킹, 모바일 악성코드, 공급망 공격 등이 확산되고 있다"며 "사이버 공격자들은 새로운 위협을 지속적으로 통합하고 더 빠르고 확장가능한 방식을 활용하고 있다"고 우려했다.

/성지은기자 buildcastle@inews24.com






alert

댓글 쓰기 제목 3분기, 모바일 악성코드 공격 '극심'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뉴스톡톡 인기 댓글을 확인해보세요.



포토뉴스
세월호 참사 11주기 기억식에서 눈물 흘리는 김경수
세월호 참사 11주기 기억식에서 눈물 흘리는 김경수
세월호 참사 11주기 기억식에서 눈물 흘리는 김동연
세월호 참사 11주기 기억식에서 눈물 흘리는 김동연
세월호 참사 11주기 기억식에서 눈물 흘리는 이재명
세월호 참사 11주기 기억식에서 눈물 흘리는 이재명
세월호 11주기 기억식 참석한 김경수·김동연·이재명
세월호 11주기 기억식 참석한 김경수·김동연·이재명
세월호참사 11주기 기억식
세월호참사 11주기 기억식
세월호 11주기 기억식,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의 빈자리
세월호 11주기 기억식,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의 빈자리
세월호 참사 11주기, 304명 희생자 추모 묵념
세월호 참사 11주기, 304명 희생자 추모 묵념
'바이러스' 김윤석, 러블리 아귀
'바이러스' 김윤석, 러블리 아귀
'바이러스' 장기하, 스크린 연기 데뷔
'바이러스' 장기하, 스크린 연기 데뷔
'바이러스' 배두나, 아찔한 브라톱 노출 패션
'바이러스' 배두나, 아찔한 브라톱 노출 패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