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포스트게놈시대 대비"…8년간 6천억원 투입


사업추진 타당성 인정…정부, '다부처 유전체 사업' 추진

[정기수기자] 정부가 포스트게놈시대를 대비한 신산업 육성을 위해 8년간 총 6천여억원의 연구개발비를 투여, 범부처 유전체 공동 연구사업을 추진한다.

이를 통해 가시적인 연구성과를 조기에 창출하고 부처간 시너지를 극대화한다는 계획이다.

27일 지식경제부·보건복지부·농림수산식품부·국토해양부·교육과학기술부·농촌진흥청 등 6개 정부 부처는 급변하는 유전체 산업의 발빠른 대처를 위해 '포스트게놈 신산업육성을 위한 다부처 유전체 사업'을 기획하고 예비타당성조사를 수행한 결과, 추진 타당성을 인정받았다고 밝혔다.

포스트게놈시대는 2003년 인간 유전체 전장을 해독하는 '인간게놈프로젝트(Human Genome Project)'가 완성된 이후 시대를 말한다.

이에 따라 그간 정체됐던 유전체 분야 정부 R&D(연구개발) 투자가 본격화돼 내년부터 오는 2021년까지 8년간 5천788억원이 유전체 연구에 투여된다. 각 부처별 투여 예산은 복지부(1천577억원), 농식품부(1천180억원), 국토부(608억원), 교과부 (1천513억원, 지경부(910억원) 등이다.

유전체 분야는 21세기 들어 가장 급격한 발전을 보이는 분야로 각광받고 있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타 분야에 비해 투자 및 기술 수준이 낮은 실정이다.

유전체 기술은 대량의 유전 정보를 일시에 해독하는 장비(NGS)와 빅데이터(대량정보)를 다루는 IT기술의 발전으로 개인 유전체 해독에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이 급속히 감소됨에 따라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세계미래회의는 오는 2025년 전세계적으로 유전자 치료 및 바이오의학 분야가 수십조달러에 달하는 시장으로 성장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이에 따라 특허권·지적재산권 등 유전체 기술력 선점을 위해 각국간 경쟁이 치열한 상황이지만, 우리나라는 여전히 선진국과의 기술 격차를 해소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정부 관계자는 "관련 분야 최고기술 보유국인 미국과 비교할 때 우리나라의 기술수준은 57.7%, 기술격차는 4.2년"이라며 "BT(biotechnology) 전체 예산 대비 유전체 비중도 일본(5.8%)과 미국(1.6%)에 비해 우리나라는 0.9%에 불과하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유전체 기술이 가져올 미래사회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비하고 우리나라의 글로벌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범정부적 차원에서 이번 사업을 마련하게 됐다"고 덧붙였다.

이번 다부처 유전체사업은 ▲개인별 맞춤의료를 실현하기 위한 새로운 차원의 신약 및 진단치료기술 개발 ▲동·식물, 식품기반 미생물, 해양생물 등 각종 생명체의 유전 정보를 활용한 고부가가치 생명자원 개발 ▲유전체 분석 기술 등 연구 기반 확보 및 조기산업화 촉진 등을 목표로 추진된다.

유전체 5대 분야에 걸쳐 17개 사업이 추진될 예정이며, 이 중 부처간 연계·협력이 요구되는 5개 사업은 공동연구 사업으로 총 사업비의 17.9%(1천35억원)을 투자해 추진한다.

정부는 유전체 관련 부처가 공동으로 사업을 추진함으로써 그간 유전체 연구에서 문제점으로 지적돼 온 중복투자를 피하고, 분석 장비 등 연구 인프라와 기반 기술을 공동으로 활용해 비용 절감에도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특히, 각 부처의 연구 개발 성과를 서로 연계해 R&D 사업의 시너지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정부 관계자는 "다부처 유전체 사업의 추진이 맞춤의료, 식량·에너지 자원, 새로운 소재 개발 등으로 미래 의료와 산업 시장을 바꾸는데 기여할 것"이라며 "전세계적인 유전체 기술개발 경쟁에 우리나라가 본격적으로 뛰어드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기수기자 guyer73@inews24.com




주요뉴스



alert

댓글 쓰기 제목 "포스트게놈시대 대비"…8년간 6천억원 투입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뉴스톡톡 인기 댓글을 확인해보세요.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