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이브로 활성화를 위해서는 사업자가 자발적으로 가상이동망(MVNO) 등 망개방을 고려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또한, 요금제도 현재 수준보다 획기적으로 낮아져야 한다는 분석이다.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 공정경쟁연구실 김희수 연구원은 27일 통신학회가 주최한 '와이브로 융합 서비스 기술 워크숍'에서 와이브로 결합상품 전략으로 ▲과감한 침투가격 ▲다양한 선택 요금제 도입 ▲보완재 강화 ▲대체 관계의 활용을 꼽았다.
김 연구원은 가입자 규모가 상당 수준에 달할 때까지 과감한 요금 할인 제공 및 완전 정액 요금제를 시도할 필요가 있으며 게임콘솔 소프트웨어와 유사한 비즈니스 모델에 해당하는 요금제 도입도 검토돼야 한다고 설명했다.
특히 김희수 연구원은 "현재 와이브로 허가조건에는 상용화 후 3년안에 500만명이 돌파할 경우 MVNO를 도입하도록 돼 있으나 사업자가 자발적으로 MVNO 등 망 개방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정보통신부는 2005년 와이브로 사업자 허가 당시 3년안에 500만명을 돌파할 경우 MVNO 도입을 의무화했다. 하지만 와이브로는 지난 6월 상용화 이후 커버리지의 한계와 제한적 단말기 등의 이유로 활성화다 더디게 진행되고 있어 이 가능성은 희박해 보인다.
김희수 연구원은 또한 와이브로 활성화를 위해 정부가 ▲와이브로 통신 신규 서비스 규제를 완화하고 ▲와이브로가 타 서비스의 일부로 통합될 수 있도록 사업자의 서비스 제공 및 요금 상품 설계의 자율성을 확대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즉, 와이브로가 초고속인터넷의 일부 서비스가 될 수도 있어야 한다는 얘기다.
김 연구원은 "와이브로는 현재 1Mbps의 전송속도를 나타내기 때문에 라이트급 초고속인터넷과 대체 관계가 성립, 라이트~프리미엄 중간급의 초고속인터넷으로 수용이 가능하며 보완 관계에 있는 프리미엄급 초고속인터넷과는 적극적 결합을 추진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김 연구원은 와이브로는 수평적으로 초고속이터넷 또는 이동전화와 결합이 가능하며 수직적으로 인터넷전화(VoIP), 주문형비디오(VOD), UCC/P2P 등 서비스/콘텐츠와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분석했다.
한편, KT는 오는 4월 1일부터 서울 전역 및 지하철, 수도권 17개 대학 등을 대상으로 본격적인 와이브로 상용화를 개시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3월중 와이브로와 HSDPA를 지원하는 USB형 결합단말기와 스마트폰 형태의 단말기도 출시할 계획이다.
/강희종기자 hjkang@inews24.com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