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직장인 핑계 "몸 안 좋아" "집안 일 때문에"


'지각했을 때' 가장 많이 핑계 대

"몸이 안 좋습니다" "집에 일이 있는데요"

직장 상사들은 앞으로 부하직원들이 이렇게 말하면 의심부터 해봐야 하지 않을까.

취업포털 커리어(대표 김기태 www.career.co.kr)는 직장인 1천87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10명 중 9명이 직장생활을 하면서 핑계를 댄 적이 있었고, 핑계로는 '몸 상태가 안 좋아서'(52.2%)와 '집안에 일이 있어서'(51.4%)가 가장 많았다고 12일 발표했다(복수 응답).

이 밖에 '차가 너무 막혀서'(23.4%) , '중요한 선약이 있어서'(20.1%), '급히 처리할 업무가 많아서'(19.7%) 등 평상시 직장에서 자주 오고 가는 말들이 핑계거리라고 응답했다.

기타 의견으로 '이번 달에 돈 나갈 데가 많아서'(7.3%), '타 부서에서 마감일을 안 지켜서'(7.1%), '저장한 것이 다 날아가서'(6.7%)가 있었고, 심지어 'OO가 실수하는 바람에'(6.1%)라고 책임을 동료에게 떠 넘기는 경우도 있었다.

핑계를 대는 때는 '지각했을 때'(22.5%)가 가장 가장 많았다. 이 밖에 ▲불편한 자리에 참석해야 할 때(18.6%) ▲갑자기 출근하기 싫어질 때(17.0%) ▲하기 싫은 일이 주어졌을 때(13.9%) ▲업무실적이 저조하거나 시간 내에 끝내지 못했을 때(12.4%) ▲남들 쉬는 날 출근해야 할 때(7.2%) ▲수습하기 어려운 실수를 저질렀을 때(5.4%) 등이 뒤를 이었다.

핑계를 대는 대상으로는 10명 중 8명 가량(78.9%)이 '직장상사'를 꼽았다. '동료직원'은 13.6%, 'CEO'는 5.5% 등 주로 상사에게 핑계를 댔다.

반면 핑계를 대는 대상으로 '부하직원'은 0.7%로 적은 비율이지만 '핑계를 대는 때'에 대한 응답에서 '갑자기 한턱 내야 하는 일이 생겼을 때'가 1.1%인 것으로 나타난 것을 보면 상사들은 주로 '한 턱 내야 할 때' 부하직원에게 핑계를 대는 것으로 분석된다고 커리어 측은 밝혔다.

핑계를 대는 이유는 '하기 싫은 일을 피해가기 위해서'(29.1%)가 가장 많았다. 또 ▲잔소리 듣는 게 싫어서(22.5%) ▲잘못을 감추고 싶어서(22.3%) ▲허락을 받아내기 위해서(20.9%) 순이었고 ▲습관처럼 몸에 배어서(2.8%)라는 응답도 있었다.

'일주일에 평균 몇 번의 핑계를 대냐'는 질문에 대해 73.2%가 '한 번'이라고 응답했으며, 절반이 넘는 51.5%가 핑계 대는 것을 '지나치지 않는다면 괜찮다'고 생각했다.

/정병묵기자 honnezo@inews24.com@inews24.com






alert

댓글 쓰기 제목 직장인 핑계 "몸 안 좋아" "집안 일 때문에"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뉴스톡톡 인기 댓글을 확인해보세요.



포토뉴스
박찬대 원내대표 격려하는 이재명 대표
박찬대 원내대표 격려하는 이재명 대표
'비상계엄 해제한 국민께 드리는 감사문'
'비상계엄 해제한 국민께 드리는 감사문'
최상목 탄핵안 법사위 회부
최상목 탄핵안 법사위 회부
우원식 국회의장 대국민 특별담화
우원식 국회의장 대국민 특별담화
윤 대통령 탄핵 '인용'에 허탈한 尹 지지자들
윤 대통령 탄핵 '인용'에 허탈한 尹 지지자들
윤석열 파면 직후 용산 청사에서 내려지는 '대통령 상징' 봉황기
윤석열 파면 직후 용산 청사에서 내려지는 '대통령 상징' 봉황기
'윤석열 파면'에 분노하는 지지자들
'윤석열 파면'에 분노하는 지지자들
'윤석열 파면' 인사 나누는 국회측 변호인단
'윤석열 파면' 인사 나누는 국회측 변호인단
'윤석열 파면' 헌재 결정문 듣는 윤 대통령 변호인단
'윤석열 파면' 헌재 결정문 듣는 윤 대통령 변호인단
'윤석열 파면'에 분노하는 지지자들
'윤석열 파면'에 분노하는 지지자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