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지금은 기후위기] 해저 영구동토층…지구 가열화로 녹는다?


메탄 분출 현상 자주 목격돼

국내 쇄빙연구선 아라온호. [사진=극지연구소]
국내 쇄빙연구선 아라온호. [사진=극지연구소]

[아이뉴스24 정종오 기자] 지구 가열화의 가장 큰 직격탄을 맞고 있는 곳이 북극이다. 북극은 지구촌 다른 지역보다 가열화 속도가 2~3배 빠르다는 사실은 이미 과학적으로 검증된 바 있다.

극지연구소(소장 강성호)는 북극 동시베리아해에서 수집한 음파를 분석해 해저 영구동토층의 존재 가능성을 확인했다. 지구 가열화에 따라 해저 영구동토층이 어떤 변화에 휩싸일지 연구하는 초석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영구동토층은 탄소가 외부로 새어나가는 것을 막고 보관하는 역할을 한다. 최근 지구 가열화 영향으로 빠르게 녹으면서 제 기능 수행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상부가 상대적으로 따뜻한 바닷물에 노출된 해저 영구동토층에서는 메탄 분출 현상이 자주 목격된다.

국내 연구팀이 동시베리아해에서 해저 영구동토층의 존재를 확인했다. 동시베리아해 수중음향 관측 지점. [사진=극지연구소]
국내 연구팀이 동시베리아해에서 해저 영구동토층의 존재를 확인했다. 동시베리아해 수중음향 관측 지점. [사진=극지연구소]

극지연구소 나형술 박사, 한양대 ERICA 한동균 박사 연구팀은 2017년부터 북극 동시베리아해에 독자적 수중음향관측시스템을 구축했다. 바다의 소리를 수집, 분석했다. 이를 바탕으로 북극 동시베리아해 연안의 수심 변화와 해저면 하부의 영구 동토층 존재를 파악했다.

음파는 공기중(약 340m/s)과 비교했을 때 바다 속에서 약 4배 정도 빠르게 전달(약 1천500m/s)된다. 영구동토층처럼 밀도가 높은 매질을 통과할 때 속도가 더욱 빨리지는 경향이 있다.

연구팀은 이러한 소리의 음향학적 특징과 수치모델을 이용해 얇은 상부퇴적층에 덮여 있는 영구동토층의 존재를 확인하는 데 성공했다.

음파는 바닷속에서 멀리까지 효과적으로 전달되는 특성이 있어 접근이 어렵거나 장기간 관측을 필요로 하는 연구에 유용하다. 이번 연구는 인간에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소음 등을 최소화한 비침습적 방식이라 최근 문제가 되고 있는 해양 소음 유발 가능성도 낮고 친환경적이다.

동시베리아해는 대서양과 태평양에서 기원한 바닷물이 마주치는 곳이다. 최근 지구 가열화의 영향으로 북극보다 저위도의 바다에서 북상하는 어족자원들이 발견되는 등 해양생태계가 빠르게 변하고 있는 바다이다.

연구팀은 2017년 이후 매년 우리나라 쇄빙선 아라온호로 해당 바다를 방문, 세계에서 유일하게 동시베리아해의 소리를 장기 관측하고 있다.

연구팀은 이전에도 관측시스템에 기록된 데이터를 분석해 북극해 바다얼음이 이동할 때 나는 소리, 턱수염바다물범(Bearded seal) 같은 해양포유류가 내는 소리 등을 분리해내는 연구를 진행한 바 있다.

이번 연구 결과는 ‘프론티어스 인 마린사이언스 (Frontiers in Marine Science)’에 실렸다.

강성호 극지연구소장은 “장기간 관측한 북극 바다 속 음향 데이터는 그 확보만으로도 의미가 있다”고 강조한 뒤 “북극 해양 생태계 변화와 북극 해저에서 일어나는 현상이 기후변화에 미치는 영향 등 다양한 연구에 활용될 수 있어서 앞으로 쓰임새가 더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정종오 기자(ikokid@inews24.com)








alert

댓글 쓰기 제목 [지금은 기후위기] 해저 영구동토층…지구 가열화로 녹는다?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