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공동주택 관리 입찰시장만 7兆…부동산원, 전자입찰방식 확대 추진


적격심사제를 전자입찰방식으로 진행토록 시스템 개편

[아이뉴스24 이영웅 기자] 공동주택 관리 입찰시장 규모가 지난해 말 기준으로 7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부동산원은 입찰비리를 줄이기 위해 적격심사제를 전자입찰방식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공동주택관리 정보시스템을 개선 중이다.

7일 한국부동산원이 공동주택관리정보시스템(k-apt)의 입찰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의무관리대상 공동주택의 관리를 위한 입찰시장 규모는 지난해 낙찰금액 기준 약 7조원에 달한다.

공동주택 관리 입찰방식별 규모 [사진=부동산원]

공동주택관리정보시스템은 공동주택의 관리비, 유지관리이력, 회계감사결과 등의 관리정보를 공개하고, 전자입찰을 운영·관리하는 시스템이다.

의무관리대상 공동주택은 300세대 이상 공동주택으로 150세대 이상으로서 승강기 또는 중앙(지역)난방방식 공동주택, 주택이 150세대 이상인 주상복합아파트, 그 외 입주자등의 3분의2 이상이 서면동의하여 정하는 공동주택 등이다.

입찰방식별로 살펴보면, 전자입찰방식은 1조3천100억원으로 19.6%를 차지하였고, 비(非)전자입찰방식은 5조3천800억원으로 80.4%로 나타났다.

관리비 집행이 수반되는 사업자 선정은 입찰과정을 입주민 등에게 투명하게 공개하기 위해 전자입찰방식이 의무화되어 그 규모가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으나, 적격심사제, 수의계약은 전자입찰방식 의무화에서 제외돼있어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부동산원은 상대적으로 입찰비리 발생 가능성이 높은 적격심사제를 전자입찰방식으로 진행 할 수 있도록 공동주택관리정보시스템(k-apt)을 개선 중이다.

이석균 부동산원 시장관리본부장은 "공동주택관리정보시스템(k-apt)을 지속적으로 고도화하여 입주민 등에게 사업자 선정과정을 투명하게 공개할 것"이라며 "입찰비리와 분쟁을 최소화하여 공동주택 관리의 투명성을 강화해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공동주택 관리비정보는 한국부동산원 부동산정보 앱 또는 공동주택관리정보시스템(k-apt)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영웅 기자(hero@inews24.com)






alert

댓글 쓰기 제목 공동주택 관리 입찰시장만 7兆…부동산원, 전자입찰방식 확대 추진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뉴스톡톡 인기 댓글을 확인해보세요.



포토뉴스
답변하는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답변하는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논의하는 민주당 지도부
논의하는 민주당 지도부
산불피해 관련 질의에 답변하는 임상섭 산림청장
산불피해 관련 질의에 답변하는 임상섭 산림청장
논의하는 이재명-박찬대
논의하는 이재명-박찬대
답변하는 김문수 장관
답변하는 김문수 장관
심우정 검찰총장 자녀 채용 특혜비리 질의 답변하는 김석우 차관
심우정 검찰총장 자녀 채용 특혜비리 질의 답변하는 김석우 차관
심우정 검찰총장 자녀 특혜비리 관련 질의 답변하는 김홍균 외교부 1차관
심우정 검찰총장 자녀 특혜비리 관련 질의 답변하는 김홍균 외교부 1차관
[아이포토] 尹 탄핵심판 선고 하루 앞으로…
[아이포토] 尹 탄핵심판 선고 하루 앞으로…
뉴진스, 어도어 전속계약 소송 불출석⋯법원 앞에서 NJZ 응원하는 팬들
뉴진스, 어도어 전속계약 소송 불출석⋯법원 앞에서 NJZ 응원하는 팬들
산불피해대책마련 당정협의회에서 발언하는 송미령 장관
산불피해대책마련 당정협의회에서 발언하는 송미령 장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