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해설] 바빠진 방송위...실제 서비스는 12월 돼야 가능할 듯


 

비수도권 지상파DMB 방송구역이 결정됨에 따라 방송위는 올해 12월께 전국 서비스를 위한 정책 마련에 박차를 가할 예정이지만 지방에서 지상파DMB 서비스가 완전 개통되는 것은 12월이나 돼야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방송위 관계자는 31일 "방송 위원들의 최종 결정에 따라 빠른 시일 안에 사업자 구도 및 채널정책을 결정해 상반기 안에 지방의 지상파DMB 정책을 확정해 발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방송위는 앞으로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공청회 등을 거친 뒤 사업자 구도를 결정할 예정이다. 사업자 구도란 방송구역 내에서 공중파 및 비공중파(신규 사업자) 방송사의 비율을 결정하는 것을 말한다. 수도권 지상파DMB 사업자 구도의 경우 공중파 3사와 비공중파 3사 등으로 절반씩 나뉘어져 있다.

전국 서비스의 경우 '공중파 대 비공중파'의 구도가 '2대1'이나 '3대0'의 가능성이 유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방송위는 사업자 구도 결정 후 사업자 공모, 심사위원회 구성 및 심사 등을 거쳐 최대한 빨리 비수도권 서비스 사업자를 결정한다는 계획이다.

그러나 제2기 방송위원회 임기가 오는 5월 9일로 종료됨에 따라 새 방송위원들의 업무 파악에 적지 않은 시일이 걸릴 것으로 보여 조속한 비수도권 사업자의 선정작업이 이루어질 지는 미지수로 보인다.

현재 예정돼 있는 사업자 구도 결정 및 채널정책 완료 목표 시점은 오는 7월. 하지만 사업자 선정 뒤에도 장비 발주 및 설치 등의 '물리적 시간'을 감안하면 4분기는 돼야 전국 어디서나 지상파DMB 서비스가 가능할 전망이다.

특히 지방에서 지상파DMB 서비스를 하기 위해서는 기존 공중파 방송사의 주파수 이전작업 등 방송사들과의 협의도 뒤따라야 한다.

방송위 관계자는 "지방의 지상파DMB 서비스를 최대한 빨리 실시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지만 전국 어디서나 서비스가 되는 시점은 12월은 돼야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방송위의 '단일권역' 결정으로 SBS와 지역민방, 언론노조 등 6개 사업권역을 기대하던 쪽의 적지 않은 반발도 예상된다. 언론노조 등은 고정형 디지털TV의 보완 매체인 지상파DMB가 이동수신의 보장 및 지역성 구현을 위해서는 6개 권역으로 결정되어야 한다고 주장해 왔다.

특히 6개권역을 지지하던 측에서는 수도권의 제외한 지방을 하나의 권역으로 묶을 경우 결국 공중파 방송사들이 지방의 지상파DMB 사업권까지 사실상 장악할 것을 우려하고 있다.

이에 대해 방송위 김양하 공보실장은 "이번 결정은 사업성과 지역성을 모두 살릴 수 있는 방안을 집중적으로 검토한 끝에 나온 결과"라며 "비수도권을 단일 권역으로 결정했지만, 향후 지역성을 살릴 방안을 추가로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날 방송위 전체회의에서는 9인의 방송위원이 모두 참석, 최종 결정을 위해 표대결까지 가는 등 적지 않은 진통이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강호성기자 chaosing@inews24.com




주요뉴스



alert

댓글 쓰기 제목 [해설] 바빠진 방송위...실제 서비스는 12월 돼야 가능할 듯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뉴스톡톡 인기 댓글을 확인해보세요.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