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김종성 기자] 코스닥 상장사가 시장 개설 25년여 만에 1천500개사를 넘어섰다. 한국거래소가 2005년 기술성장특례제도를 도입한 이후 경쟁력을 갖춘 중소기업이 자본시장에서 자금을 조달해 성장동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이끌었다는 평가다.
그러나 상장 후 질적 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아 '코스닥 디스카운트'로 작용하고 있는 점은 해결 과제로 남아있다.
19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최근 일승과 씨앤씨인터내셔널이 신규 상장하면서 코스닥 상장사 수가 1천500개사(스팩 포함)를 달성했다. 지난 2007년 10월 1천개사를 돌파한 이후 13년 7개월 만이다. 상장 기업 수 기준으로 미국 나스닥(NASDAQ), 캐나다 TSX-V에 이어 글로벌 신시장 중 3번째로 많은 수준이다.
특히 기업공개(IPO) 시장이 활황을 보이며 지난해 6월 이후 약 11개월간 106개 기업이 코스닥 시장에 입성했다.
코스닥 상장사의 평균 시가총액도 2007년 10월 1천62억원에서 2천664억원으로 2.5배 늘었다. 같은 기간 코스닥 전체 시총도 106조2천억원에서 이날 400조5천억원으로 4배 가까이 증가했다.
코스닥 시장의 이같은 성장은 기술력만으로 상장할 수 있도록 상장 문턱을 낮추는 등의 규제 완화가 한몫 했다. 코스닥시장은 지난 2005년 기술특례제도를 도입했다. 이후 2010년까지 이 제도로 상장에 성공한 곳은 6개사에 그쳤지만 이후 꾸준히 규모를 늘려가며 총 110개사가 이 제도를 통해 코스닥에 진출했다.
코스닥 시장은 2016년 12월에 아직 이익실현은 없지만 성장성이 높은 기업이 상장할 수 있도록 하는 '테슬라' 요건을 신설했고, 주관사의 성장성 추천 특례 제도도 도입했다. 이후 2018년부터 '테슬라' 요건 상장과 성장성 추천 상장 사례가 나오기 시작하며 현재까지 총 23개사가 이 두 제도를 통해 코스닥에 상장했다.
코스닥 시장이 벤처기업과 혁신성장 기업의 성장 발판이 되고 있지만, 국내 경제 규모와 비교할 때 상장사 숫자가 지나치게 많다는 우려도 나온다. 상장 후 질적으로 관리가 되지 않아 '코스닥 디스카운트'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이다.
미국의 국내총생산(GDP) 규모(21조4천270억원)는 한국(1조6천360억원)의 13배가 넘지만, 나스닥의 기업 수는 3천245개로 코스닥보다 2배 남짓 많은 것에 불과하다. 벤처· 유망 중소기업을 모아둔 일본의 마더스(Mother)와 자스닥(JASDAQ) 시장의 총 기업 수는 1천58개사로, 코스닥시장이 442개나 더 많다. 중국판 나스닥인 차이넥스타(ChiNext)는 951개사다.
소위 '상장사 인플레이션'이 상장 기업들의 저평가를 야기할 수 있다는 지적도 있다. 성장성에 높은 점수를 주며 상장하더라도 이후 사업의 기반이 다져지지 못하며 부실 기업이 누적돼 시장 전반에 대한 기업 가치 평가가 저하될 수 있다는 것이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2007년 10월 이후 944개사가 코스닥에 신규 상장했는데, 같은 기간 상장폐지된 곳도 445곳에 달한다. 2곳이 상장하면 1곳은 퇴출된 셈이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코스닥 시장에 대한 부정적 평판이 상장사 기업가치의 저평가를 유발하기도 한다.
투자정보의 접근성이 떨어지는 '정보비대칭' 문제도 있다. 코스닥 상장사에 대한 증권사의 기업 분석 보고서가 코스피와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적고, 상장사들도 투자설명(IR)에 소극적인 점도 문제다. 상장 후 코스닥 시장의 질적 관리 필요성이 제기되는 이유다.
김준석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은 "코스닥에서 코스피로의 이전 상장은 기관과 외국인 투자자 저변 확대나 자금조달, 기업 인지도 제고 등의 목적보다는 코스닥의 부진한 성과와 코스피 대비 저평가에서 탈피하기 위한 목적이 크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이는 코스닥의 평판 문제로 귀결되고, 상장요건의 완화가 상장 기업의 질적 수준 저하로 이어진다면 코스닥의 추가적인 저평가를 유발하고 부정적 평판을 강화할 수 있다는 사실을 간과해선 안 된다"고 지적했다.
/김종성 기자(stare@inews24.com)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