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얇고 휘어지는 2나노 두께 전자소자 개발


"유연한 분자 단위 전자소자 개발 가능성 열어"

[박계현기자] 국내 연구진이 박막 두께 1~2나노미터인 플라스틱 기판 위에 기능과 성능이 안정적인 분자전자소자를 제작했다.

서울대 이탁희 교수가 주도하고, 박성준 박사과정생(광주과기원), 왕건욱 연구원, 윤명한 교수(광주과기원) 등이 참여한 연구팀은 자기조립단분자막(Self-assembled monolayer, SAM)을 이용해 반복적으로 휘거나 다양하게 휘어진 환경에서도 전기적 전도 특성이 안정된 나노 크기의 전자소자를 개발했다.

연구팀의 분자전자소자는 점차적으로 휘거나, 매우 심하게 혹은 다양한 형상으로 휜 환경에서도 안정적이었고, 1천회 이상의 반복 테스트에서도 고유의 상태를 유지했다.

분자전자소자(molecular electronics)는 분자 크기가 매우 작고(보통 수 나노미터 미만) 자기조립공정이 가능해, 본래 기질이 유지되면서도 저렴한 전자소자를 만들 수 있어 세계적으로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 분야이다.

그러나 지금까지 알려진 분자전자소자는 대부분 실리콘 같은 딱딱한 기판 위에서 만들기 때문에 자유자재로 휘어질 수(플렉시블) 없었다. 또한 기존의 휘어지는 유기전자소자(organic electronics)는 두께가 수 마이크로(100만분의 1미터)여서 상대적으로 큰 것이 단점이었다.

이탁희 교수 연구팀은 유기 물질의 유연한 물리적 특성을 이용해 2 나노미터 정도의 두께를 가지는 초박막 단분자박막을 이용한 분자전자소자를 제작했다.

자기조립단분자막은 규칙적으로 잘 정렬된 대표적인 유기 분자 박막으로 특별한 기구가 필요하지 않고, 기질의 모양이나 크기에 영향을 받지 않아 복잡한 기질 위에서도 제조할 수 있고 넓은 면적에도 제작이 가능하다.

연구팀은 "유연 전자소자는 모바일 전자기기, 의료, 가전 제품 등 전자 산업에 혁신적인 변화를 초래할 것"이라며 "용액공정, 인쇄공정 등에 머물던 기존 연구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분자단위에서 유연한 전자소자의 가능성을 탐구할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탁희 교수는 "이번 연구는 나노크기의 매우 얇은 단일 분자를 이용해 자유자재로 휘어질 수 있는 유연한 분자전자소자를 개발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었다"고 연구의의를 밝혔다.

이탁희 교수는 지난 2009년 단일 분자 한 개가 트랜지스터 소자로 작동될 수 있다는 것을 '네이처'에 발표했는데, 이번 연구는 이러한 분자소자가 플렉시블한 환경에서도 정상적으로 구동될 수 있음을 검증한 것이다.

이번 연구는 교육과학기술부(장관 이주호)와 한국연구재단(이사장 이승종)이 추진하는 중견연구자지원사업(도약연구)과 선도연구센터지원사업(NCRC)의 지원을 받았으며, '네이처 나노테크놀로지' 7월 4일자에 실렸다.

/박계현기자 kopila@inews24.com




주요뉴스



alert

댓글 쓰기 제목 얇고 휘어지는 2나노 두께 전자소자 개발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뉴스톡톡 인기 댓글을 확인해보세요.



포토뉴스
세월호 참사 11주기 기억식에서 눈물 흘리는 김경수
세월호 참사 11주기 기억식에서 눈물 흘리는 김경수
세월호 참사 11주기 기억식에서 눈물 흘리는 김동연
세월호 참사 11주기 기억식에서 눈물 흘리는 김동연
세월호 참사 11주기 기억식에서 눈물 흘리는 이재명
세월호 참사 11주기 기억식에서 눈물 흘리는 이재명
세월호 11주기 기억식 참석한 김경수·김동연·이재명
세월호 11주기 기억식 참석한 김경수·김동연·이재명
세월호참사 11주기 기억식
세월호참사 11주기 기억식
세월호 11주기 기억식,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의 빈자리
세월호 11주기 기억식,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의 빈자리
세월호 참사 11주기, 304명 희생자 추모 묵념
세월호 참사 11주기, 304명 희생자 추모 묵념
'바이러스' 김윤석, 러블리 아귀
'바이러스' 김윤석, 러블리 아귀
'바이러스' 장기하, 스크린 연기 데뷔
'바이러스' 장기하, 스크린 연기 데뷔
'바이러스' 배두나, 아찔한 브라톱 노출 패션
'바이러스' 배두나, 아찔한 브라톱 노출 패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