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정종오 기자] 인공지능(AI)를 기반으로 하는 소재분야 연구에 속도가 붙을 것으로 보인다.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안덕근)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상임)가 데이터·인공지능(AI) 기반 소재 연구개발 혁신을 위해 손을 맞잡았다. 8일 두 부처는 산업부가 구축한 약 300만건의 소재 분야 공공데이터를 과기정통부의 데이터안심구역을 통해 개방하기로 업무협약했다.
소재 개발은 평균 10년 이상의 연구 기간과 대규모 투자가 필요한 고난도 산업 분야 중 하나이다. 한 번 채택된 소재는 쉽게 대체되지 않아 ‘선도자 이익’이 큰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평가받고 있다.
장기간의 소재 연구개발의 결과물인 소재 데이터(레시피)는 부가가치의 원천이다. 소재 데이터만 확보할 수 있다면 고비용 투자가 어려운 중소기업도 도전적 소재 개발에 참여할 수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사진=정종오 기자]](https://image.inews24.com/v1/9f66c1daff1d1f.jpg)
산업부는 2020년부터 국내 소재 산업의 경쟁력 강화와 전략 소재 선점을 지원하기 위해 화학, 금속, 세라믹, 섬유 등 4개 소재 분야 공공 데이터를 축적해왔다.
이번 협약을 계기로 약 300만건의 소재 데이터를 국민 누구나 접근 가능하도록 개방한다. 원료, 조성, 공정에 따른 다양한 소재 특성을 담은 실험 데이터를 통해 국내 소재 기업들의 연구개발(R&D) 성공률을 높이고 데이터 기반 창업도 촉진할 전망이다.
개방된 데이터는 과기정통부가 운영하는 ‘데이터안심구역’을 통해 안전하게 제공된다. 데이터안심구역은 ‘데이터 산업진흥 및 이용촉진에 관한 기본법’에 따라 과기정통부와 관계부처가 지정한 보안 통제 공간이다. 민감하거나 미개방 데이터를 기술적·물리적·관리적으로 보호하면서 분석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제도이다.
데이터안심구역은 현재 전국에 8개 기관(10개)이 지정돼 있다. 교통, 고용, 보건 등 다양한 분야의 미개방 데이터를 제공하고 있다. 데이터안심구역은 데이터 정밀 분석을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분석 도구도 함께 제공하고 있다.
이번에 산업부 소재 데이터가 추가됨에 따라 제조업 현장에서 실제 활용할 수 있는 AI 학습데이터 기반이 한층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두 부처는 업무협약(MOU) 체결 직후 소재 분야 기업과 연구기관이 함께하는 ‘데이터·AI 기반 소재 R&D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 자리에서는 △AI 기반 소재 연구의 최신 트렌드 △데이터 표준화와 공유 방안 △소재 데이터의 산업적 활용 사례 △제조 분야 AI 서비스 확산 방안 등을 논의했다.
이승렬 산업부 산업정책실장은 “소재 산업은 인공지능을 접목한 R&D 혁신 가능성이 가장 큰 분야 중 하나”라며 “약 5년간 축적한 소재 데이터를 실질적으로 개방함으로써 기업들의 기술 개발에 큰 힘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송상훈 과기정통부 정보통신정책실장은 “AI 시대에는 소재 데이터와 같은 고품질 데이터 개방이 기술 혁신의 핵심 동력이 된다”며 “이번 협력을 시작으로 데이터 기반의 산업 혁신이 더욱 가속화될 수 있도록 과기정통부의 여러 사업들과 함께 지속적으로 지원하겠다”고 전했다.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