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전기차 화재, 불 끄는 데만 7시간…안전관리 대책 시급"


한국자동차기자협회, '전기차 보급 확대와 안전' 주제로 심포지엄 개최

[아이뉴스24 강지용 기자] 전기자동차 배터리 화재가 발생했을 때 안전 대책이 시급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이는 진압이 어렵고, 발화되면 빠르게 열 폭주 현상으로 진행돼 운전자가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는 시간을 벌기조차 어렵다는 점에서다.

한국자동차기자협회는 2일 제주국제컨벤션센터에서 '전기자동차 보급 확대와 안전'을 주제로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한국자동차기자협회는 2일 제주국제컨벤션센터에서 '전기자동차 보급 확대와 안전'을 주제로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좌장을 맡은 최웅철 국민대학교 자동차공학과 교수(가운데)가 발언하고 있다. [사진=강지용 기자]
한국자동차기자협회는 2일 제주국제컨벤션센터에서 '전기자동차 보급 확대와 안전'을 주제로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좌장을 맡은 최웅철 국민대학교 자동차공학과 교수(가운데)가 발언하고 있다. [사진=강지용 기자]

패널 토론에 나선 최웅철 국민대학교 자동차공학과 교수는 "이제는 배터리의 에너지 용량, 즉 주행거리를 늘리는 데 대한 요구 보다 안전에 대한 요구가 더욱 커지고 있다"며 이같이 주장했다.

이어 채영석 한국자동차기자협회 고문은 "2021년 4월 17일 미국 텍사스주 휴스턴 외곽에서 발생한 테슬라 모델S 차량의 충돌 후 화재 당시 소방관 8명이 전기차의 불을 끄는 데만 7시간이 걸렸고 2만8천 갤런의 물이 사용됐다"고 실제 사고 사례를 전했다.

전기차 안전 문제에 대해 석주식 한국교통안전공단 자동차안전연구원 부원장은 "한국교통안전공단에서도 제도 개선에 대비한 연구 수행 등을 하고 있다"며 "국제적으로 배터리 1개의 셀에서 문제가 발생해 화재가 발생하면 충분히 사람이 탈출할 수 있게 다른 셀로 빠른 전이가 되지 않도록 하는 열전이 지연 성능에 대한 평가 방법을 개발 논의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2일 제주국제컨벤션센터에서 열린 한국자동차기자협회 심포지엄에서 참석자들이 발표하고 있다. 사진은 (왼쪽부터)김동영 한국개발연구원 전문연구원, 이후경 EVall 대표, 석주식 한국교통안전공단 자동차안전연구원 부원장, 최웅철 국민대학교 자동차공학과 교수, 채영석 한국자동차기자협회 고문, 백창인현대자동차 통합안전개발실장 상무, 이광범 법무법인 세종 고문.[사진=강지용 기자]
2일 제주국제컨벤션센터에서 열린 한국자동차기자협회 심포지엄에서 참석자들이 발표하고 있다. 사진은 (왼쪽부터)김동영 한국개발연구원 전문연구원, 이후경 EVall 대표, 석주식 한국교통안전공단 자동차안전연구원 부원장, 최웅철 국민대학교 자동차공학과 교수, 채영석 한국자동차기자협회 고문, 백창인현대자동차 통합안전개발실장 상무, 이광범 법무법인 세종 고문.[사진=강지용 기자]

이광범 법무법인 세종 고문은 "2016년 이후 전기차 보급 확대로 인해 2018년에 3건이던 전기차 리콜은 2022년에 67건으로 증가했다"며 "전기차의 고전압 배터리 리콜은 화재 사고로 이어진 경우, 여론에 이끌려 불완전한 리콜을 실시하는 경향을 보였다"고 말했다.

이 고문은 "지하에서 전기차 충전 중 발생하는 화재 사고를 줄이기 위해서는 현재 SOC(State of Charge, 배터리 충전 상태) 100%로 되어 있는 지하 충전시설의 완속 충전기를 100% 이하로 제한해 화재 발생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전기차 관련 솔루션업체 이비올(EVall)의 이후경 대표는 "고전압 배터리가 적용된 전기차에서의 안전사고는 이전의 내연기관 차량의 사고와는 다르게 나타난다"며 "별도의 대책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지만 정부를 비롯한 제작사의 관심과 협조가 없으면 소비자들의 불안은 가중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대표는 "전기차 사고에 대한 유형을 정확히 파악하고 조치 가능한 것들은 교육이나 홍보를 통해 미연에 방지하고, 단기에 조치가 불가한 사항은 피해를 최소화하는 방향을 모색해야 한다"며 "전기차와 미래차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가 떨어지기 전에 관계자 모두가 합심해 체계적인 안전 정책 수립을 위해 노력해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한국자동차기자협회는 2일 제주국제컨벤션센터에서 '전기자동차 보급 확대와 안전'을 주제로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사진=강지용 기자]
한국자동차기자협회는 2일 제주국제컨벤션센터에서 '전기자동차 보급 확대와 안전'을 주제로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사진=강지용 기자]

이어 백창인 현대자동차 통합안전개발실장은 "현대자동차는 전기차 배터리 화재와 관련해 다양한 상황을 가정한 모듈·시스템 단위의 단품 시험을 통해 배터리 화재 안전성을 검증하고 있다"며 "주행 중 충격을 줄 수 있는 노면 위 장애물의 하부 충격 상황을 가정한 전기차에 특화된 개발 기준도 적용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백 실장은 "전기차 충돌사고 때 화재 발생 사례에 대해서도 국내외에서 수집한 통계 자료를 바탕으로 개발 기준을 지속적으로 검토하고 화재 원인을 분석해 선행 개발 단계에서부터 이를 반영하고 있다"라고 밝혔다.

한편, 이날 심포지엄을 개최한 한국자동차기자협회는 국내 55개 언론사를 회원사로 두고 있으며, 회원사 소속 기자 200여 명이 활동하고 있다.

/서귀포=강지용 기자(jyk80@inews24.com)







alert

댓글 쓰기 제목 "전기차 화재, 불 끄는 데만 7시간…안전관리 대책 시급"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