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박진영 기자] "현재 전세계 140개국에 수출하고 있으며 국내보다는 해외에서 입지를 확고히 하고 있다. 바이오인식 보안의 특성상 믿을 수 있는 품질에 대한 수요가 높기 때문에 (타사 제품에 비해) 비싸지만 좋은 품질을 추구하는 프리미엄 시장이 타깃이다"
지난 29일 경기 성남시에 위치한 슈프리마 본사에서 만난 김한철 대표는 바이오인식 보안 분야에서 회사의 경쟁력에 대해 이같이 말했다.
그는 "슈프리마는 바이오인식 보안 분야서 20년의 업력을 갖추고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다양한 실제 데이터를 통해 바이오인식 알고리즘의 정확도를 높였다"면서 "얼굴인식 기술의 경우 오인식률을 100억분의 1까지 낮췄으며 지난해 출시한 AI기반의 얼굴인식제품을 통해 얼굴인식 범위를 크게 넓혔다"고 강조했다.
이어 "출입통제에 활용하는 얼굴인식 제품을 2011년 출시했는데 당시에는 얼굴인식 기술을 출입통제에 적용하는 게 생소했다"면서 "슈프리마가 국내 생체인식 분야에서는 업력이 꽤 오래된 회사라 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슈프리마는 지문·얼굴인식 등 바이오인식 솔루션 보안 전문기업으로 출입통제부터 근태관리까지 아우르는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주요 고객사로는 삼성전자, 보쉬 등을 포함한 글로벌 기업은 물론, 국내 공공기관에는 한국전력공사, 서울 교통공사, 인천국제공항 등이 있다.
최근에는 갤럭시 S21, 퀀텀2 등에 슈프리마 지문인식 알고리즘을 탑재했고 오송보건의료행정타운에 출입통제 시스템 사업을 구축하는 등 국내에서 입지를 넓히고 있다.
슈프리마는 국내보다는 해외시장에서 꾸준히 인지도를 쌓아왔다. 그 비결로 '프리미엄 타깃'을 꼽았다. 글로벌 시장조사 기관 옴디아(Omdia)에 따르면 슈프리마는 지문·얼굴 인식 등 바이오 인식을 활용한 출입통제 장치 분야에서 약 13%의 글로벌 시장 점유율을 기록해 중국을 제외한 글로벌 시장에서 1위를 달성했다. 특히 유럽 및 중동·아프리카 지역에서는 다수의 글로벌 보안 기업들을 제치고 2016년에 이어 시장점유율 1위를 지속 유지한 것으로 분석됐다.
김 대표는 "해외에서 인지도를 쌓는데 꽤 오랜 시간 걸렸는데 보안 분야는 특히 다양한 레퍼런스를 확보하는 게 중요하다"면서 "해외에서 꾸준히 영업을 하면서 브랜드 이미지를 구축해왔고, 슈프리마는 '고품질 프리미엄' 전략으로 해외시장을 공략했다"고 말했다.
이어 "중국에서도 슈프리마 제품을 사용하고 있는데 중국 내 프리미엄 마켓을 공략하고 있다"면서 "회사 입장에서 얼굴인식 장치 해외수출 국가를 살펴보면 단일국가로는 1위가 영국, 2위가 중국, 3위가 일본이 차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특히 강력한 보안이 필요한 곳에서 바이오인식 보안 제품을 도입하고 있는데 대표적인 곳이 데이터센터(IDC)라는 게 그의 설명이다. 일례로 글로벌 1위 데이터센터 업체인 에퀴닉스가 슈프리마의 지문인식 기술을 활용하고 있다. 슈프리마의 단일고객 중 가장 큰 규모다. 또 디지털리얼티(Digital Realty) 데이터센터에도 회사의 지문인식 제품이 도입됐다.
김 대표는 "데이터센터는 사이트도 크고 전세계적으로 크게 확장되고 있는 분야기 때문에 주요한 고객으로 떠오르고 있다"면서 "중동에서도 석유회사와 같이 직원들의 근태를 철저히 관리해야 하는 곳에 자사의 근태관리 제품이 활용되고 있다"고 말했다.
앞으로 얼굴인식 제품 프리미엄 브랜드로서 이미지를 확충하는 한편, 모바일 출입카드 등 모바일 솔루션 분야로도 사업을 확장할 계획이다.
특히 코로나 이전부터 개발해 온 모바일 출입카드 솔루션이 최근 DID(탈중앙화 신원증명)와 모바일 신분증 확산으로 국내외 수요가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새로운 인증수단을 넘어 다양한 방면에서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김 대표는 "앞으로 비접촉과 모바일이 주요 트렌드로 자리 잡을 것이다. 슈프리마는 2년전부터 모바일 사원증 등 관련 사업을 시작했으며, 향후 모바일·비대면 솔루션 시장을 더욱 확대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또 업계에서는 슈프리마 가격대가 있지만 품질이 좋다는 이미지가 있다"면서, "내년엔 다양한 타깃층을 공략할 수 있도록 비대면 얼굴인식 라인업을 확충하고, AI 딥러닝 기술과 빅데이터 분석 기술을 통해 통합 보안·출입통제 시장에서 끊임없이 혁신하는 리더로 거듭날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우리 정부가 해외에 비해 신기술 도입에 적극적이고, 국내 기업의 해외진출 지원을 위한 체계 정비가 필요하다는 제언도 이어졌다.
김 대표는 "우리나라처럼 모바일공무원증, 모바일 운전면허증 등 신기술 사업을 적극 장려하는 국가는 해외에서도 보기 어렵다. 국내 공공기관들이 새로운 기술을 도입하려는 의지가 높은 편"이라고 말했다.
이어 "현재 우리나라에서도 개인정보보호법 개정안이 국회에 올라와있는데 국내 기업들이 국내법을 준수하면 해외수준에 맞춰질 수 있도록 유럽의 GDPR 등 해외사례를 참조해 법체계가 정비되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박진영 기자(sunlight@inews24.com)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