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실험실 창업 활성화 되려면…"과감한 정부지원 필요"


첨단기술 보유 교수·연구원 창업 유인책 절실…한국연구재단

[아이뉴스24 최상국 기자] 정부의 청년창업지원 정책에 발맞춰 고급 기술기반의 '실험실 창업' 지원 정책도 다양하게 시행되고 있다.

대학 실험실의 독창적인 연구개발 성과를 바탕으로 '첨단기술형 창업'이 성공적으로 이뤄진다면 높은 부가가치 창출은 물론 좋은 일자리를 만들어내는 데도 기여할 것이라는 기대다.

그러나 실험실에서 성공한 기술을 사업화하기까지 시간도 오래 걸리고 실패위험도 크다는 게 문제. 대학원생 및 교원의 적극적인 창업을 유인하려면 대학과 정부의 관련 제도 개선은 물론 더욱 과감한 지원정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KAIST 교원창업기업 ‘이지엔도서지컬’의 창업식(4월17일). 기계공학과 권동수 교수가 8명의 제자와 함께 창업한 이 회사는 KAIST의 66번째 교원 창업기업이다. [KAIST 제공]
KAIST 교원창업기업 ‘이지엔도서지컬’의 창업식(4월17일). 기계공학과 권동수 교수가 8명의 제자와 함께 창업한 이 회사는 KAIST의 66번째 교원 창업기업이다. [KAIST 제공]

19일 한국연구재단에 땨르면 지난 연말 4년제 대학 산학협력단(창업지원단) 등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에서 실험실 창업에 대한 긍정적인 응답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실험실 창업이 기대와 달리 미흡한 가장 큰 원인으로 대학이 창업지원에 투입할 재원이 절대적으로 부족하고, 교원의 창업의지가 낮다는 점이 꼽혔다.

실제로 이번 조사에서 설문응답 대학의 42.9%는 실험실창업 지원예산이 전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머지 대학도 대부분 예산이 5천만원 미만에 그쳤다.

또 실험실창업이 활성화되지 못하는 이유로 '교원 및 대학원생의 의지 부족'(25.0%)과 '창업지원 전담인력 부족'(23.2%) 등 사람의 문제가 주로 지적됐다. 반면 '적합한 기술의 부족'(10.7%)은 가장 낮게 나타났다. 기술이 없어서라기보다는 예산 및 행정지원이 부족하기 때문이라는 뜻이다.

그럼에도 실험실 창업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비중은 총장이 75.0%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직원 50.0%, 교원 46.4%의 순으로 조사됐다.

한국원자력의학원은 17일 연구원 창업기업 ㈜젠셀메드 현판식을 가졌다. 젠셀메드는 방사선의학연구소 권희충 박사가 암 치료제 기술을 활용해 창업한 의학원 신약개발 1호 벤처기업이다. [한국원자력의학원 제공]
한국원자력의학원은 17일 연구원 창업기업 ㈜젠셀메드 현판식을 가졌다. 젠셀메드는 방사선의학연구소 권희충 박사가 암 치료제 기술을 활용해 창업한 의학원 신약개발 1호 벤처기업이다. [한국원자력의학원 제공]

이에 따라 실험실 창업 활성화를 위해 보다 과감한 제도개선과 지원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한국연구재단이 최근 발간한 '실험실 창업 활성화를 위한 기술사업화 전문인력 양성방안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먼저 대학에서도 교원이 실험실 창업에 과감히 도전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유인책 마련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됐다.

이를 위한 방안으로 교원평가와 인사에 창업 활동에 대한 업적 평가를 반영하고, 창업연구년 제도 같은 제도적 기반 구축 등을 제시했다.

교수가 실험실창업에 과감히 도전하려면 교육-연구-창업을 손쉽게 병행할 수 있는 인사·평가 제도 마련이 필요하다는 것.

또 대학-교원-학생 간 이해상충을 방지할 수 있는 명확한가이드라인 필요성도 지적됐다. 대부분의 대학이 교원창업과 관련한 규정을 갖고 있으나 특허의 소유, 창업의 기준, 지분 구조 등 창업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갈등 유형에 대해서는 정확한 지침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정부도 실험실특화 창업선도대학의 과감한 확대와 실험실 단위 지원사업 운영 등에 나서야 한다는 지적이다.

대학이 실험실창업 중요성은 인식하고 있지만, 장기간의 등록금 동결과 학생정원의 감소로 실험실창업에 투자할 재원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이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현재 5개인 실험실특화 창업선도대학을 10개로 확대하고, 대학 단위 외에 실험실 단위 지원트랙을 만들어 보다 많은 실험실창업지원이 이뤄지는 방안 마련 등이 과제로 꾭혔다. 가령 대학의 전체적 창업역량은 부족해도 특정 실험실은 우수한 능력을 보유할 수도 있어 대학 단위의 지원만으로는 한계가 있다는 뜻이다.

보고서는 또 실험실 창업기업의 성장이 대학의 수익에 기여할 수 있는 거버넌스 강화도 주문했다. 대학기술지주회사 등의 투자를 바탕으로 구성원이 함께 과실을 공유할 수 있는 체계 마련이 시급하다는 이유에서다.

이와 관련 이창윤 과학기술부 과학기술일자리혁신관은 "실험실 특화형 창업선도대학은 내년에 10개로 늘리고 현재 대학당 5억원 내외인 지원금을 늘리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 또한 기술지주회사의 지분구조나 교원 창업 동기부여를 위한 다양한 제도도 법령 개정을 통해 대학 현장의 요구사항이 반영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최상국 기자 skchoi@inews24.com




주요뉴스



alert

댓글 쓰기 제목 실험실 창업 활성화 되려면…"과감한 정부지원 필요"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뉴스톡톡 인기 댓글을 확인해보세요.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