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례기자] 정부가 본격적인 드론 등 무인이동체 미래선도 핵심기술 개발에 나선다. 2019년까지 400억원을 투입, 공공·민수용 차세대 무인이동체의 원천기술을 확보한다는 전략이다.
현재 드론 등 무인 이동체 시장은 관련 수요가 급증 하면서 중국 등 각국의 선점 경쟁이 치열하다. 정부는 원천기술 확보를 통해 국내 기업들의 관련 산업 진입 등을 돕는다는 방침이다.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양희, 이하 미래부)는 무인기 성장 동력 확충 및 미래선도기술력 확보를 목표로 향후 3년간 총400억 원을 투입'무인이동체 미래선도 핵심기술개발사업'을 추진한다고 17일 발표했다.
통상 드론으로 대표되는 무인이동체는 외부환경을 인식하고 스스로 상황을 판단, 이동하거나 필요시 원격조종으로 동작 가능한 이동체로 무인기나 자율주행자동차, 해양 무인이동체 등을 포함한다.
무인이동체 시장은 세계 각국이 선점을 위한 공격적인 투자에 나서고 있는 상황. 우리정부도 무인이동체 분야에 지난 4년간 약 2천840억원을 투자했으나 가격과 성능면에서 중국 및 선진국에 뒤쳐지고 있다는 진단이다.
이는 그동안 무인이동체 기술이 육상(자율주행자동차), 해양(무인수상정), 항공(무인기) 등으로 구분, 개발이 이뤄지면서 개발 비용과 기간이 많이 소요되고 타 분야로의 진입장벽이 높았던 탓도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이에 따라 정부는 무인기, 자율주행자동차, 무인수상정 등 다양한 무인이동체 분야를 아우르는 공통 플랫폼 기술(부품, 항법, 통신, 운용 SW 등)에 대한 통합적인 기술을 개발, 정보통신기술(ICT) 등 타분야 산업체들이 드론 산업에 쉽게 진입할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한다는 전략이다.
나아가 향후 미래 사회가 요구하는 다기능성의 고도화된 무인이동체 구현을 위한 핵심 기술인 자율협력형 무인이동체 기술 및 인공지능 기반의 무인이동체 지능화 연구 등에도 적극 나설 계획이다.
정부는 특히 민간시장 규모가 급증하고 있는 소형무인기, 즉 30kg 이하 드론의 경우 취미용 보다 높은 수준의 기술 성능을 요구하는 민수 및 공공 서비스 시장을 주요 타깃으로 국내 드론 중소·벤처 기업의 기술역량 제고를 위한 기술 개발을 적극 지원키로 했다.
이를 위해 안전성 향상, 난조건 운용 등 필수 기반기술 및 오픈 플랫폼 등을 출연(연)과 대학 등이 개발해 중소기업에 기술이전하도록 유도하고, 정부나 공공기관의 드론 수요를 기반으로 초기 시장과 맞춤형 기술개발 지원을 동시 제공한다는 방침이다.
이를 전담할 무인이동체사업단을 이달 중 발족시키고, 현재 한국연구재단을 통해 실시 중인 기술수요조사와 과제공모를 거쳐 하반기부터 사업에 본격 착수할 예정이다.
미래부는 "이번 사업을 통해 무인이동체 R&D를 효율화하고, 글로벌 시장 선도를 위한 차세대 무인이동체 시장에 대비하는 한편, 타분야의 뛰어난 ICT 기업들이 드론 등 무인이동체 분야에 적극 진출할 수 있는 생태계가 조성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