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두탁기자] 수출 주력산업에 속하는 기업 10곳 중 8곳은 매출이나 이익이 줄어드는 쇠퇴기 내지 정체기에 접어든 것으로 조사됐다.
또, 이에 대한 대응방안으로 ICT 융합, 첨단소재 개발 등 신사업 추진계획이 많았으나 초기단계에 불과해 성과 도출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공회의소는 21일 최근 우리 수출을 이끄는 가전, 무선통신기기, 반도체, 자동차 등 13대 주력 제조업체 300곳을 대상으로 '우리 기업의 신사업 추진실태와 시사점'을 조사한 결과, 응답 업체의 66.3%가 주력제품의 수명주기에 대해 매출확대가 더디고 가격과 이익은 점점 떨어지는 성숙기에 접어들었다고 답한 것으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조사에 따르면 매출과 이익 둘 다 감소하는 쇠퇴기로 들어섰다는 기업은 12.2%였으며, 반면 매출이 빠르게 늘면서 높은 이익을 거두는 성장기라고 답한 기업은 21.5%에 그쳤다. 새로운 시장이 태동하는 도입기라는 업체는 한군데도 없었다.
업종별로는 성숙기에 접어들었다는 응답이 '컴퓨터'(80%), '섬유'(75.0%), '평판디스플레이'(72.2%), '무선통신기기'(71.4%)에서 많은 반면 '자동차'(50.0%)와 '반도체'(41.7%)는 적게 나왔다. 쇠퇴기라는 응답은 '선박'(26.1%), '섬유'(25.0%), '평판디스플레이'(22.2%) 순으로 높았다.
대한상의는 "이번 조사는 섬유, 조선 등 노동집약적인 산업 뿐 아니라 시장이 포화되고 기술력이 상향평준화된 IT산업까지 구조적 어려움에 직면해 있음을 나타낸다"며 "반도체, 자동차 산업도 후발국의 추격과 시장변화가 빨라 낙관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87% 신사업 추진할 것…'ICT융합'(47.9%) > '신소재‧나노'(28.6%) > '에너지'(26.1%) 순
이러한 성장둔화에 대응해 응답기업의 86.6%는 '신사업 추진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13.4%는 '별다른 대책이 없다'고 응답했다.
신사업 추진분야로는 기존 사업과 '연관된 분야'(45.7%)나 '동일 분야'(43.0%)라고 답해 완전히 새로운 비즈니스를 시도(11.3%) 하기 보다는 현재의 강점을 살리려는 경향이 강했다.
산업별 추진분야로는 'ICT 융합'이 47.9%로 가장 많았으며 '신소재‧나노'(28.6%), '에너지신산업'(26.1%), '서비스산업 결합'(9.7%), '바이오헬스'(5.9%), '고급소비재'(3.4%) 등이 뒤를 이었다. (복수응답)
'ICT 융합'의 대상에 대해서는 '사물인터넷‧스마트홈'(43.9%), '드론‧무인기기'(30.0%), '3D프린팅'(12.3%), '인공지능‧로봇'(11.5%), '가상‧증강현실 시스템'(4.3%)을 들었다.
그러나 신사업을 추진하는 기업들도 대응이 초기단계에 불과해 앞으로 가시적 성과를 내기까지는 많은 시간이 걸릴 것으로 드러났다.
신사업의 진행상황을 묻는 질문에 '가능성 검토단계'(56.6%), '구상단계'(9.3%) 등 시작단계에 있는 기업이 '기술력 확보 등 착수단계'(23.2%), '제품출시 단계'(10.5%), '마무리 단계'(0.4%)에 있는 기업보다 2배가량 많았다.
추진 방식으로는 64.8%의 기업이 '자체 연구개발'이라고 응답했고, 다음으로 '외부기술 도입'(15.8%), '공동투자나 M&A'(9.9%), '전문연구기관과 제휴'(6.9%), '국가의 R&D사업에 참여'(2.6%) 등을 꼽았다. 한편, 산업연구원 분석에 따르면 우리나라 제조기업들이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고 사업화하는데 평균적으로 32.5개월이 소요되며, 이는 '응용연구'(12.8개월)와 '시제품 제작'(10.1개월), '출시제품 제작'(9.6개월) 기간을 합한 수치로, 기업들이 신산업을 추진해 제품을 시장에 내놓는데 적어도 2~3년이 걸릴 것으로 분석했다.
조동철 KDI 수석이코노미스트(대한상의 자문위원)는 "최근 산업트렌드를 살펴보면 과거 원가절감 등 가격경쟁이 주가 되던 시기를 지나 혁신적 아이디어에 기반 한 첨단기술 경쟁으로 빠르게 재편되고 있다"며 "산업간 경계를 뛰어넘어 고부가가치 융합분야에 대한 기업의 적극적이고 속도감 있는 대응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전수봉 대한상의 경제조사본부장은 "기업들이 신산업시장에 대해 수익성이 불투명하다고 느끼고 있는 만큼 규제를 풀어 투자욕구를 자극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금융‧노동개혁을 이행해 사업 환경을 개선하는 것과 동시에 규제를 정비해 기업 자율성을 높이는 등의 노력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김두탁기자 kdt@inews24.com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