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국배기자] 불법 소프트웨어(SW) 사용률과 악성코드 노출률 간 상호연관성이 처음으로 밝혀졌다. 불법 SW 사용률이 높을수록 악성코드 발견률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두 변수 간 상관계수는 흡연과 폐암 사이보다 높았다.
소프트웨어연합(BSA)은 23일 '불법 소프트웨어와 사이버보안 위협 간의 연관성'이라는 보고서를 통해 불법 SW와 악성코드 노출 사이 상당한 상관관계가 있다고 밝혔다. BSA에 따르면 불법 SW와 악성코드 간 통계적 분석은 이번이 처음이다.
BSA가 시장조사기관 IDC에 의뢰해 진행된 이번 조사는 81개국의 불법 SW 사용률과 사이버보안 위협 통계를 분석했다. 불법 SW 사용률은 BSA가 격년으로 발표하는 '글로벌 소프트웨어 보고서'에 기반했으며 사이버보안 위협정보는 매달 6억명의 컴퓨터 활동을 관찰하는 마이크로소프트(MS)의 보안정보 보고서를 기반으로 했다.
![](https://image.inews24.com/image_gisa/201504/1429752797462_1_103435.jpg)
그 결과 불법 SW 사용률이 높을수록 악성코드 발견율은 더 높았다. 2013년 미국의 불법 SW 비율은 18%, 악성코드 노출률은 13%였으며 한국의 경우 불법 SW 비율은 38%, 분기별 악성코드 노출률은 30%였다.
IDC 분석에 따르면 불법 SW 비율과 악성코드 노출률의 두 변수는 선형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변수 사이의 통계적 상관계수는 0.79로 흡연과 폐암의 상관계수 0.72, 학력과 소득의 상관계수 0.77, 반부패정책과 경제성장의 상관계수 0.77를 고려할 때 매우 높았다.
IDC는 "두 변수 사이의 인과관계를 증명할 수는 없지만 분명한 것은 불법 소프트웨어의 비율이 낮을수록 악성코드의 노출률 또한 낮게 나타난다"고 설명했다.
BSA 아태지역 컴플라이언스 담당 상무인 롤랜드 챈은 "모든 사이버 보안위협이 악성코드에서 기인하는 것은 아니고 또 모든 악성코드가 불법 SW로 인해 발생하는 것은 아니다"면서도 "일부의 악성코드는 불법 SW로 인해 발생하며, 대부분의 악성코드는 사이버 보안 위협의 원인이 된다는 점은 매우 분명하다"고 설명했다.
/김국배기자 vermeer@inews24.com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