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세월호 참사 1년…아직 아물지 못한 상처


부실 쌓이니 대형 참사, 정부 무능에 불신도 깊어져

[채송무기자]또 다시 거리가 노란 리본으로 뒤덮이고 있다. 1년이 지났지만 4.16의 아픔은 여전히 사람들의 가슴에 남아 아직도 사람들의 마음을 시리게 하고 있다.

2014년 4월 16일 오전 8시 48분, 인천을 떠나 제주도로 향하던 6천800톤급 여객선인 세월호가 진도 앞바다에서 천천히 기울어 바다로 침몰하면서 비극은 시작됐다. 세월호에는 수학여행을 가던 안산 단원고 학생 300여명을 포함한 승객 476명이 배를 타고 있었다.

당초 잔잔한 바다였고, 승객들이 대부분 건강한 젊은이라는 점에서 희생자가 크지 않을 것이라 믿었다. 최초 방송에서 승객 대부분의 구조 소식이 들려왔고, 정부 또한 이날 오후 구조자 숫자를 368명으로 발표해 국민들은 안도의 한숨을 쉬었다.

그러나 곧 청천벽력같은 소식이 들려왔다. 오후 2시 30분이 넘으면서 구조자가 160여명이라는 사실이 드러난 것이다. 이후 국민들은 망치로 머리를 맞은 듯한 충격 속에서 한 목소리로 조속한 구조를 기원했지만, 들려오는 소식은 비극적이었다.

◆재난 대응서 우왕좌왕한 정부, 불신 자초

세월호 과정에서 국민들은 위기 때 지켜주지 못하는 정부의 무능을 절실히 느꼈다. 세월호 사고를 신고한 것은 주변 배도, 선원들도 아니었다. 단원고 2학년 최덕하 군이 '배가 기울고 있다'고 신고했지만 소방당국은 "위도와 경도가 어떻게 되나" 같은 엉뚱한 질문만 했다.

주요 선박을 감시해야 하는 진도해상관제센터 역시 세월호의 구조 요청에 제대로 된 답을 주지 않았다. 여기에 구조를 책임져야 할 선장과 선원들은 퇴선 명령도 하지 않은 채 도망을 택했다. 그것도 '가만히 있으라'는 선내 방송을 한 채였다.

승객의 생명을 구해야 할 해양경찰은 우왕좌왕하면서 골든타임을 날려버렸다. 당시 세월호 안에 '해경 구조정이 10분 후에 도착할 예정'이라는 방송이 나온 상태였지만 도착한 해양경찰은 갑판에 서 있는 승객 일부와 이준석 선장 등 선원들만 구출한 채 선내 진입은 시도조차 하지 않았다.

해경이 당시 선내로 진입해 퇴선 명령만 내렸어도 대다수의 학생들은 구원의 손길을 받을 수 있었다. 결국 어른들의 말을 잘 들은 학생들은 죽음으로 내몰렸고, 말을 듣지 않고 탈출한 학생들만 목숨을 건진 통탄할 상황이 벌어졌다.

이후 10개월의 수색 과정에서도 정부의 무능은 여실했다. 세월호 수색과 관련해 약 6천304명의 잠수사가 실종자를 찾기 위해 바다로 뛰어들었고, 막대한 비용이 투입됐다. 수많은 자원봉사자들이 팽목항으로 내려가 유가족과 아픔을 같이 했다.

그러나 팽목항에서는 유가족들의 분노가 커졌다. 해경이 민간 구난업체 '언딘'의 우선 투입을 위해 잠수사들의 투입을 막았다는 의혹이 터져나온 것이다.

정부가 구조자 수, 탑승자 수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는 최악의 우왕좌왕하는 모습을 보이면서 의혹만 커졌다.

세월호 침몰 원인을 규명하는 가장 중요한 자료인 항적도도 앞뒤가 맞지 않는 것을 공개하고, 논란이 일자 '데이터가 일부 없어졌다'고 해명했다. 사라졌다는 데이터에 대한 설명도 계속 바뀌었다. 구조 작업에 투입된 잠수사와 지원 설비 규모를 과장했다는 소식도 나왔다.

결국 정부의 투명하지 않은 태도가 사고 과정에서 불거진 무능과 더해져 정부에 대한 불신만 커진 셈이다. 경쟁적으로 팽목항을 찾은 정치인과 정부 관계자들이 세월호 유족들의 상처만 들쑤시기도 했다.

◆세월호 유족 아직도 거리에…'원만한 해결' 될까

정부가 없는 자리에 시민이 모였다. 서울 광화문 광장에 거대한 천막이 설치됐고, 유가족들은 여야의 갈등 외에 어떤 성과를 내지도 못한 국정조사를 대신해 수사권과 기소권을 부여한 '세월호 특별법'을 통해 진상을 규명하겠다고 나섰다.

유가족들은 무기한 단식 농성에 나섰다. 여의도 국회의사당과 서울 광화문 광장에 천막과 돗자리가 깔렸다. '유민아빠' 김영오 씨가 47일 넘게 단식을 하면서 김씨의 생명을 지키기 위해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의원, 가수 김장훈 씨 등 각계 인사와 시민들이 동조 단식에 나섰다.

그러나 유족들이 원하는 세월호 특별법은 이뤄지지 않았다. 유족들을 충실히 대변하지 못했다는 이유로 새정치민주연합 박영선 원내대표가 직을 떠나기도 했지만 결국 유가족들은 유가족 추천 인사가 특별조사위원장을 맡고 조사가 미진할 경우 세월호 특별검사를 임명하는 선에서 세월호 특별법에 합의했다.

사의를 표한 정홍원 총리가 우여곡절 끝에 재임명되는 등 엄청난 사건에도 사실상 책임지는 사람도 없었다. 정부는 세월호 침몰 210일 만인 지난해 11월 11일 세월호 수색 종료를 선언했다.

그리고 세월호 1주기를 맞은 2015년 4월 현재 유가족은 여전히 거리에 있다. 아직도 유가족이 요구하는 것은 진상규명과 재발 방지 대책 마련이다.

박근혜 대통령이 유족들이 요구하는 세월호 특별법 정부 시행령에 대해 "원만하게 해결하라"고 지시했고, 세월호 인양에 대해서도 전향적인 입장을 밝혀 해결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는 가운데 1년이 넘도록 우리 사회에 상처를 주고 있는 세월호 문제가 이번에는 원만하게 해결될지 주목된다.

채송무기자 dedanhi@inews24.com




주요뉴스



alert

댓글 쓰기 제목 세월호 참사 1년…아직 아물지 못한 상처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뉴스톡톡 인기 댓글을 확인해보세요.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