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영은기자] KT 노동자의 사망자 수 증가가 사회적 문제로 떠오르는 가운데, KT의 인력퇴출프로그램에 대한 집중적인 대응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민주당 정책위부의장 윤관석 의원은 10일 보도자료를 통해 "매년 30~40명의 KT 직원이 사망하고 있지만 근본적인 해결책이 나오지 않고 있다"며 "중요한 원인으로 지목되는 KT 인력퇴출프로그램에 대한 국회 차원의 대응과 관심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KT노동인권센터에 따르면 2009년 이석채 회장 취임 이후 KT직원 사망자는 195명에 달했고, 이 중 23명이 자살했다. 뿐만 아니라 KT직원의 사망자 수는 지난 2008년 36명에서 2012년 56명으로 매년 증가해왔으며, 올해 7월까지의 사망자 수는 21명에 이른다.
윤 의원은 "KT노동인권센터는 자살의 근본적 원인을 대규모 구조조정과 인력퇴출프로그램에서 찾고 있다"며 "실제 IMF 이후 KT의 크고 작은 구조조정은 10여 회에 달했고, IMF 이전 6만명이었던 KT노동자는 현재 3만여 명 수준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단일 기업에서 이렇게 많은 사망자가 발생하고 있는데도 그동안 국회 차원의 조사나 적극적인 대응이 전혀 없었다는 것이 큰 문제"라며 "더 이상 국회와 야당이 이를 외면해서는 안되고, 향후 국회 차원의 대응을 요구할 것"이라고 했다.
이에 대해 KT 측은 "사회 전반적으로 사망률이 증가하는 상황에서 KT직원만 사망률이 증가했다는 것은 맞지 않다"며 "KT 직원 규모를 따져볼 때 사망률이 아닌 일방적인 사망자 숫자로만 판단하기엔 불합리한 측면이 있다"고 해명했다.
특히 KT 측은 "오랫동안 회사를 다니는 직원 (평균 근속연수는 19년 정도로 국내 대기업 중 TOP에 해당)들이 많아 자연히 평균연령도 높은 편"이라며 "그럼에도 사망률은 국내 20~50대의 평균 사망률인 0.185%의 3분의 1수준으로 낮은 편"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회사 자체적으로 집계한 사망자 수는 2009년 초 현 이석채 CEO 취임 후 지난 6월까지 113명으로 KT노동인권센터에서 주장하는 195명과도 차이가 있다는 설명이다.
KT 관계자는 "해당 건에 대해 허위사실 유포에 따른 명예회손으로 소송을 진행 중"이라고 덧붙였다.
이영은기자 eun0614@inews24.com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