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송무기자] 문재인 민주당 후보와 안철수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장 등 야권의 주요 주자들이 대선 무대에 오르면서 대선판이 보다 분명해지고 있는 가운데 현 구도는 야권에 유리한 상황으로 흐르고 있다.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 측에 악재가 거듭되고 있는 상황인데 비해 야권은 문재인 후보와 안철수 원장의 선거 출마 선언 이후 컨벤션 효과(전당대회 등 정치 행사 후 지지율이 오르는 현상)에다 이후 후보 단일화라는 최고의 정치적 아벤트도 기다리고 있다.
그러나, 최근 박 후보에게는 악재가 연달아 터지고 있다. 지난 8월 20일 당의 대선 후보로 선출되면서 유일한 대선 주자로서의 행보를 통해 본선 주도권을 쥘 계획이었지만, 과거사 논란·정준길 전 공보위원의 안철수 원장 불출마 종용 논란이 이어지면서 오히려 적지 않은 타격을 입었다.
박 후보는 18일 경기도 성남 소재 가천대학교에서 여대생을 대상으로 한 특강을 통해 과거사 논란 등 자신을 둘러싼 논란에 대해 정면돌파할 계획이었지만, 또 다시 악재가 터져나왔다.
박근혜 후보의 경선 캠프 공동선대위원장을 맡을 정도로 친박 핵심인 홍사덕 전 의원이 4.11 총선을 앞둔 지난 3월 서울 종로구 자신의 선거사무실에서 모 중소기업 대표 A씨로부터 현금 5천만원을 받고, 지난해 추석과 올해 설날 각각 현금 500만원이 든 선물상자를 받은 혐의로 중앙선관위로부터 검찰에 고발된 것이다.
홍 전 의원은 지난 17일 기자회견을 열고 자신의 결백을 강조했지만 파문이 커지자 스스로 탈당했다.
홍 전 의원은 이날 자필로 작성한 보도자료를 통해 "큰 일을 앞둔 당과 후보에게 조금이나마 부담을 덜어드리기 위해 자진 탈당한다"며 "수사가 마무리되어 무고함이 밝혀질 때까지 모든 활동을 중단한다"고 밝혔다.
반면, 야권은 대선에 출마할 선수를 정하고 본격적인 대선 행보를 시작했다. 문재인 민주통합당 후보가 지난 16일 후보 선출 후 '민생 회복'에 힘을 싣고 나섰다.
문 후보는 대선 후보 선출 다음날 구로디지털 단지를 찾아 경제 분야 각계 인사들과 함께 일자리 창출 문제를 논의했다.
이 자리에서 문 후보는 "좋은 일자리 만들기를 국정 최우선 목표로 삼겠다"며 "후보 확정 후 첫 일정을 일자리에 관한 것으로 한 것도 일자리에 대한 중요성에 대한 강화"라고 강조했다.
안 원장도 19일 서울 충정로 구세군아트홀에서 대선 출마 입장을 밝힌다. 정치권에서는 안 원장이 사실상 대선 출마를 선언할 것으로 보고 있다.
유민영 안 원장 측 대변인은 "안 원장은 그간 국민들의 의견을 듣고 한 판단을 국민에게 설명하고, 기자들의 질문을 받을 것"이라고 말했다. 안 원장이 '정치 쇄신'의 열망을 안고 떠올랐고, 그간 정치권보다는 일반 국민들의 의견을 들어왔다는 점에서 이 자리에서는 이번 대선의 시대정신을 밝힐 가능성이 상당하다.
◆여론조사서도 박근혜 ↓, 문재인·안철수↑
이같은 야권 우위의 상황은 지지율에서도 드러나고 있다. YTN과 아산정책연구원이 여론조사 기관 리서치앤리서치와 함께 지난 14~16일 1천 세대를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박근혜 후보는 지난 13일 직전 조사보다 하락한 결과를 나타낸 반면 야권 주자들은 상승했다.
박 후보는 안철수 원장과의 양자대결에서 13일 조사 46.4%에서 1.7% 하락한 44.7%의 지지율을 얻었다. 안 원장은 지난 13일 조사 42.4%에서 0.9% 상승한 43.5%로 양 후보의 격차는 1.2%로 좁혀졌다.
박근혜 후보와 민주당 문재인 후보의 양자대결 조사에서도 박 후보는 지난 13일 조사 47.4%에서 1.7% 하락한 45.7%를 얻었다. 문 후보는 13일 조사 41.1%에서 0.3% 올라 41.4%가 됐다. 박 후보와 문 후보의 격차는 4.3%로 줄었다.
어느새 야권 주자들과 박 후보의 지지율 격차가 오차 범위 내로 좁혀진 것이다. 더욱이 여야 지지도에서는 새누리당 36.4%, 야권 39.3%여서 야권에 유리한 현 구도를 입증했다.
새누리당의 고민은 여기서 그치지 않는다. 야권에는 문재인 후보와 안철수 원장이 출마 선언 후 서로의 지지층을 결집·확장한 후 후보 단일화를 하는 최고의 정치 이벤트가 예정돼 있는 것에 비해 새누리당은 박근혜 후보에게 국민의 눈을 집중시킬 만한 새로운 이벤트가 마땅치 않다.
이 때문에 상당 기간 대선 정국의 주도권은 야권에 있을 가능성이 크다.
채송무기자 dedanhi@inews24.com 사진 정소희기자 ss082@inews24.com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