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특정 단말기에 종속적이라는 비판을 받아온 모바일 전자정부 서비스 개발 지침을 공개했다.
행정안전부(장관 맹형규)는 28일 오후 서울 무교동 한국정보화진흥원 '공공정보 제공지침 및 모바일 전자정부 서비스 제공 지침 공청회'를 열고 모바일 서비스 개발 지침을 밝히고 모바일 웹 방식을 이용할 것을 권장했다.
발제를 맡은 행안부 김회수 정보자원정책과장은 "국가기관이 제공하는 모바일 서비스가 특정 스마트폰에 집중돼 있다는 지적을 받아왔다"며 "현재 모바일 공공정보는 아이폰에 제공되는 애플리케이션이 40여개, 옴니아 2에 제공되는 애플리케이션이 1개다"고 현황을 전했다.
현재 정부 기관은 외교통상부(해외여행 생활정보), 식약청(식품나라), 서울시(모바일 서울), 기상청(기상예보) 등에서 약 20여개 모바일 웹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사이트가 다양한 단말기에 최적화돼 있지 않아, 일부 깨짐 현상 등이 발생해 사용자의 불편을 초래하고 있다.
모바일 앱으로는 기재부(시사경제용어사전, 주요경제지표), 법제처(법령정보센터), 문화부(미니공감), 서울시(서울투어) 등에서 40여개 서비스를 제공 중이다. 모바일 앱 역시 특정 단말기에서만 이용가능해, 아이폰에서만 40여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행안부는 공공이 제공하는 서비스는 모든 국민들에게 보편적 접근성이 보장돼야 하므로 모바일 앱보다 모바일 웹 방식을 권고한다고 밝혔다. 최근 와이파이 존 확충 추세 등 무선 인터넷 환경을 감안할 때 모바일 웹도 속도 면에서 일정 수준 극복 가능하다는 것.
행안부는 모바일 웹이 일정 기준 준수 시 다양한 운영환경(OS)에서 작동해 멀티태스팅이 가능하다는 점이 아이폰 종속 현상이 심한 모바일 앱보다 나은 점이라고 밝혔다. 반면 웹 브라우저 기동 및 데이터 전송 때문에 속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고 지적했다.
정부가 내놓은 모바일 웹호환성 지침 준수 사항에는 ▲대민 모바일 웹사이트를 구축, 운영하고자 하는 경우 최소 3종 이상의 모바일 웹브라우저에서 동등하게 서비스를 제공 ▲2011년부터 신규 구축되는 대민 모바일 웹사이트 웹 표준 준수 의무화 ▲모바일 웹페이지의 마크업 언어, 화면 디자인 요소, 동적 기능 요소 등은 전자정부 웹호환성 준수지침과 동일 ▲단말정보저장소, 미디어쿼리 및 기타 기술을 활용해 다양한 사용자 단말에 적합하도록 콘텐츠 제공 노력 등을 권고하고 있다.
행안부는 오는 5월까지 공청회 의견 반영 및 관련 부처 의견 수렴을 거쳐 5월 확정 고시할 예정이다.
정명화기자 some@inews24.com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