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정유림 기자] "인공지능(AI)이 만드는 결과물에 특정 데이터가 얼마나 기여하는지 정량적으로 측정하는 것이 현재로선 불가능하다. 이 분야 1위인 미국의 논의를 살펴봐가며 우리 상황에 맞는 방안을 도출해야 한다."
5일 서울 영등포구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생성형 AI의 뉴스 콘텐츠 학습, 쟁점과 과제' 토론회에서 하정우 네이버클라우드 AI이노베이션 센터장은 AI가 학습하는 과정에서 언론사 뉴스 데이터를 활용하는 것과 관련해 이같은 입장을 밝혔다.
그는 "제품을 만든다고 할 때 재료는 기여도에 따라 원가를 어느 정도 책정할 수 있지만 데이터나 콘텐츠는 기여도 평가와 정확한 가치를 측정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며 "뉴스도 마찬가지인데 난제를 풀기 위한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AI 고도화를 위해서는 많은 양의 데이터를 학습시키는 것이 중요한데 언론사 뉴스도 포함되고 있다. 일각에서는 언론사 뉴스를 학습용으로 사용하는 데 대해 적절한 보상이 이뤄져야 한다는 주장을 제기하고 있다.
이날 토론회에 참석한 김진욱 법무법인 주원 변호사도 "뉴스에 대한 정당한 대가 산정 방식을 마련하기 위해 근본적인 모색이 필요한 시점"이라며 "생성형 AI 학습에 뉴스가 활용되는 경우 언론사에 별도로 동의를 구하는 식으로 약관에 반영하는 등 세밀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하 센터장은 "뉴스 저작권을 인정하고 언론사와의 상생을 모색하는 방향성에는 항상 공감한다"면서도 "기업들이 생성형 AI 관련 사업을 고민한 지 1년이 채 되지 않았는데 이해관계가 얽힌 다양한 주체가 사회적 합의를 도출하기에는 짧은 시간으로, 앞으로 더 논의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해외에서도 AI 챗봇 챗GPT 개발사 오픈AI가 AI 학습을 위해 무분별하게 뉴스를 수집한다는 의혹으로 논란이 일었다. 뉴욕타임즈 등 일부 언론사들은 오픈AI의 웹크롤러(웹페이지에 표시된 콘텐츠를 자동으로 긁어가는 프로그램) GPT봇 접근을 막았다. 오픈AI는 지난 7월 뉴스 통신사 AP통신과 뉴스 사용 등에 대한 협약을 맺었다.
하 센터장은 "오픈AI와 AP통신의 협업이 어떤 형태인지, 구체적인 내용까지 파악하기는 어려우나 최근 미국의 움직임을 보면 단체 협약보다 회사 간 개별 계약이 많다"며 "사용료 지급보다 기술(AI 개발사)과 콘텐츠(언론사)를 상호 교환해 협약하는 모습"이라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이런 협력처럼 AI 개발사가 기술을 활용해 언론사가 가지고 있는 고충을 해소할 수 있게 하는 '윈윈' 구조를 구체화할 수 있는 논의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정유림 기자(2yclever@inews24.com)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