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도민선 기자] 이동통신단말장치 유통구조 개선에 관한 법률(단통법)이 시행된 뒤 이동통신 시장의 사업자 변경(번호이동)이 스마트폰 교체 (기기변경)를 크게 밑돌고 있다.
이는 단통법 이후 지원금 위주 경쟁이 제한, 이통사 경쟁이 저해될 것이라던 당초 우려와도 일치하는 대목이다. 2년 교체주기에 맞춰 지원금이나 요금 할인을 받아 폰만 교체하고 있다는 얘기다. 올해도 이 같은 추세가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이다.
13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무선통신서비스 가입자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이동전화 가입유형별 가입자 수는 ▲기기변경 978만7천272건 ▲신규가입 768만7천244건 ▲번호이동 701만4천429건으로 집계됐다.
번호이동이 기기변경의 71.67%에 그친 것. 이는 단통법이 시행된 뒤 지난 3년간 변화추이와 같다. 3년간 번호이동이 기변의 70% 수준으로 떨어진 것.
이에 따라 일각에서는 단통법 시행 이후 오히려 통신사 간 경쟁이 둔화됐다는 해석도 나온다. 지난 2013년까지만 해도 월별 번호이동 수가 100만 건을 넘은 적이 여러 차례 있었지만, 2014년 10월 이후로는 매달 50만~60만 건에 머물러 있는 것.
이는 기변에 따른 프리미엄 단말에 대한 수요는 계속 늘고 있다는 방증도 된다. 통신업계 종사자로 구성된 통신비 인하 추진 시민연대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프리미엄 단말의 판매비율은 70%를 넘은 것으로 추산된다.
실제로 기기변경 대비 번호이동 둔화는 프리미엄 스마트폰의 출시시기와 상당한 상관관계를 보인다. 기기변경 대비 번호이동 비율은 삼성전자 갤럭시노트8이 출시된 지난해 9월에는 58.36%, 갤럭시S8이 출시된 4월에는 57.89%까지 내려갔다. 신제품 출시와 함께 번호이동 대신 기변을 선호하는 사람이 다른 때보다 더 많다는 뜻이다.
이병태 한국과학기술원(KAIST) 경영대학 교수는 "프리미엄 단말일 수록 출고가가 높아서 과거와 같은 지원금 경쟁이 효과가 있는데, 단통법으로 이 같은 경쟁이 제한돼 오히려 폰만 바꾸는 등 시장이 고착화될 수 밖에 없다"며, "단통법 도입 당시에도 이런 상황이 우려됐다"고 지적했다.
또 프리미엄 단말의 이슈는 시장 상황에 직접적으로 반영되기도 한다. 기기변경 대비 번호이동 비율은 갤럭시노트7가 출시된 2016년 8월에는 62.75%로 떨어졌지만, 배터리 폭발 이슈 불거졌던 같은해 9월 82.85%로 올라갔다. 배터리 이슈로 기변이 40만 건 가까이 줄어든 탓이다.
이는 시장과열 시 당국의 집중 단속 대상이 되는 집단상가에서는 직접적인 영향을 주기도 한다.
특히 올들어 새로운 플래그십 단말기나 시장에서 인기를 끈 중저가 단말이 없어 번호이동은 물론 기변 등 수요 역시 크게 줄어들고 있는 것. 이는 내달 갤럭시S9이 출시 전까지 이어질 전망이다.
전국이동통신집단상권연합회 측은 "올들어 매장별로 하루 한 건 이상 개통도 어려운 상황"이라며, "이번 설도 이전과는 달리 큰 특수를 기대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우려했다.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