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슈퍼스타K', 유료 콘텐츠 부흥 신호탄?


케이블 제작 환경 암울…"제도 개선 없인 불가"

'슈퍼스타K', '롤러코스터' 같은 케이블 프로그램들이 연이어 히트하면서 지상파 방송사에 버금가는 유료방송 콘텐츠 시장이 열리는 것 아니냐는 기대감이 높다.

지난 22일 종영된 엠넷의 서바이벌 오디션 프로그램 '슈퍼스타K'2는 시청률 18.1%로 케이블 사상 최고 기록을 경신했다.

상황이 이렇게 되면서 유료 방송 업계는 큰 관심을 보이고 있다. '슈퍼스타K' 같은 킬러 콘텐츠가 10여 개만 나온다면 케이블의 이미지를 끌어올려 광고 시장의 파이까지 키울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하지만 케이블 채널들의 현실을 살펴보면 낙관적이지 않다. 광고 단가가 지상파 방송의 30분의 1 수준에 불과한 데다 ▲외주제작 기반 붕괴 ▲시대에 뒤떨어진 시장 점유율 제한 등 걸림돌이 한 두 가지가 아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케이블채널에서 볼만한 방송 콘텐츠를 만드는 것이 쉽지 않다는 지적이 힘을 얻고 있다. 이처럼 국내 방송콘텐츠 산업이 제자리를 잡지 못하면, 개방형인 스마트TV 시대에 안방 시장을 전부 외국에 내줄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광고 기반 열악...지상파의 30분의 1수준

'슈퍼스타K2'는 편당 3억원, 총 40여억원의 제작비를 들여 프로그램만으로 60억원대의 매출을 올린 것으로 알려졌다. 선발된 톱11의 콘서트와 음반 발표, 엠넷미디어의 시가총액을 600억원 이상 끌어올린 점을 감안하면 경제적 효과는 엄청나다는 평가다.

그러나 '슈퍼스타K'같은 프로그램이 제작될 수 있는 기반은 열악하다.

CJ미디어 서장원 상무는 "(롤러코스터 등 인기 프로그램을 방영하는) tvN 등 케이블 채널의 광고 단가는 15초에 20만원에 불과하다"면서 "이는 지상파의 30분의 1 수준"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최근 8년 동안 광고 시장이 정체됐다는 점을 감안할 때 케이블 PP들이 자체 제작 콘텐츠에 투자하기는 쉽지 않은 구조"라고 설명했다.

서 상무는 "웬만한 드라마를 만들려면 500억 이상 투자해야 하는데, 지상파외 PP들이 혼자 추진하기란 쉽지 않다"면서 "세계 최저 수준인 유료방송의 수신료 문제만 정상화돼도 콘텐츠 투자가 늘어날 수 있다"고 말했다.

◆종편 등장으로 콘텐츠 활성화?...협업 절실

이와 관련, 종합편성채널이 방송콘텐츠 시장을 활성화시킬 것이란 기대도 있다. 최소 2개 사업자가 3천억에서 5천억원을 쏱아 붓는다면, 활기를 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국내 우리나라의 방송광고시장이 2000년이후 연간 3% 성장에 머물러 물가상승률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음을 감안할 때, 파이를 키우기보다는 출혈 경쟁만 남을 우려도 제기된다.

서장원 상무는 "대형 드라마 제작에 있어 기존 MPP와 종편과의 협력이나 종편간 공동 투자 등이 필요하다"면서 "10년 이상 장기적인 안목을 갖고 시장을 함께 키워갈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종편의 보도 프로그램은 기존 신문 인력을 활용한다 해도 돈이 되는 오락이나 연예 프로그램은 자체 제작이 어려울 수 있다"면서 "방통위와 문화부가 2012년에 만드는 디지털방송콘텐츠지원센터가 종편의 드라마 제작 등에 활용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협찬고지·외주제작 등 규제 합리화, 공론화돼야

국내외 콘텐츠간 무한경쟁이 이뤄지는 스마트TV 시대가 도래하기 전에, 국내 방송콘텐츠의 경쟁력을 키우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전문가들은 모바일과 온라인 광고시장의 강자인 구글이나 애플에 소위 TV 시장 광고까지 뺏길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따라서 방송통신위원회 등 방송계 안팎에서는 광고 외에 콘텐츠 제작 기반을 마련해 줄 수 있는 다양한 정책적 방법들이 모색돼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논란일 수 밖에 없지만, 방송콘텐츠를 둘러싼 지상파 외주제작비율·협찬고지·간접광고와 관련된 규제들을 공론의 장으로 끌어내야 한다는 말이다.

지상파 방송사 관계자는 "전체 방송프로그램의 35%로 돼 있는 외주제작비율을 드라마와 비드라마 등 장르별로 합리화하면서, 콘텐츠 제작능력을 보유한 지상파의 자체 콘텐츠 제작 기반을 마련해 줄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반면 케이블채널 업계 관계자는 "지상파 외주제작 규제를 갑자기 완화하면, 지상파 방송사의 독과점이 더욱 강화될 수 있다"며 "외주제작사들의 협상력이 급속히 악화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지상파와 케이블 PP에 금지돼 있는 협찬고지를 푸는 일이나 외주제작사들의 간접광고 규제를 완화할 지도 논의 대상이다. 현행 법(방송법)은 기업이 방송 프로그램의 제작비를 지원하거나 시상품, 경품을 협찬했을 때 협찬주명과 시상품명을 밝히는 것만 '협찬고지'로 허용하고 있다.

하지만 지상파 3사의 협찬고지 위반이 2009년 전년대비 7배이상 증가하는 현실이다.

이에 대해선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콘텐츠를 만들려면 자본 수혈이 원활해 할 수 있도록 규제를 완화해야 한다는 의견과 지나친 방송의 상업화에 따른 질 저하를 우려하는 시각이 팽팽히 맡서고 있다.

김현아기자 chaos@inews24.com







alert

댓글 쓰기 제목 '슈퍼스타K', 유료 콘텐츠 부흥 신호탄?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