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꼬이는 원구성 협상, '지각 개원' 우려 고조


더민주 '법사위 양보' 제안에 새누리 '발끈' 국민의당 '회의론'

[윤미숙기자] 여야의 20대 국회 원구성 협상이 꼬여가고 있다. 국회의장과 법사위·운영위·예결위 등 핵심 상임위 위원장 자리를 놓고 새누리당과 더불어민주당, 국민의당이 좀처럼 이견을 좁히지 못하고 있다.

원구성 시한을 일주일여 앞둔 2일에는 더민주 우상호 원내대표가 '여당 법사위원장-야당 국회의장' 안을 제시하면서 협상에 속도가 붙을 것이란 전망이 나왔지만, 새누리당이 즉각 반발하고 나선 데다 국민의당 마저 회의적인 입장을 밝히면서 '지각 개원' 우려가 고조되고 있는 상태다.

우 원내대표는 이날 당 고위정책회의에서 "법사위(원장)를 과감하게 양보하겠다"고 밝혔다. 국회의장과 법사위원장 모두 맡겠다던 기존 입장에서 선회한 것이다. 그는 "상임위 배분에서도 견제와 균형의 원리가 잘 작동하도록 새누리당이 야당들에 양보할 차례"라고 강조하기도 했다.

그러나 새누리당 김도읍 원내수석부대표는 기자들과 만나 "꼼수 중의 꼼수"라며 "법사위를 양보할테니 새누리당이 다 양보하라는 말이 얼마나 허무맹랑한가"라고 분통을 터뜨렸다.

김 수석부대표는 지난달 31일 3당 수석부대표 회동에서 더민주 측이 '여당 법사위원장-야당 국회의장' 제안을 이미 했고 여기에 정무위, 운영위도 요구했다고 밝혔다. 국민의당은 기재위를 요구했다고 한다. 그는 "두 야당이 도저히 받을 수 없는 협공을 한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김 수석부대표는 "내가 전향적으로 해서 다음 날 결론짓자고 했더니 오후에 두 야당이 국회의장을 표결(자율투표)로 강행 처리하겠다고 야합했다"며 "그래서 원구성 협상이 파행된 것이고 그 책임은 두 야당에 있다"고 주장했다.

국민의당 박지원 원내대표는 원내정책회의 직후 기자들과 만나 "(한 쪽이) 국회의장을 차지하면 반대쪽에서 법사위원장을 갖는 게 관례인데, 이번에는 여러 가지로 봐서 야당이 법사위원장을 해야 한다는 생각"이라고 말했다.

다만 "(더민주가) 국회의장을 갖는다고 하면 조정도 가능하지 않겠느냐"면서 "내가 볼 땐 새누리당에서 안 받아들일 것 같다. 그래서 (원구성 협상이) 조금 더 교착상태로 진행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박 원내대표는 "누차 이야기했지만 흥정도 거래도 욕심도 구정치라고 생각한다"며 "우리 당의 내부적 결정은 2개 상임위원장을 원칙대로 가져오겠다는 것이고 그 2개 상임위원장에는 법사위원장이 포함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윤미숙기자 come2ms@inews24.com








alert

댓글 쓰기 제목 꼬이는 원구성 협상, '지각 개원' 우려 고조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