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하늘을 잡아라" 통신업계의 '드론 앓이' 이유는?


차세대 드론 인프라 시장에 군침, 정부 규제완화가 관건

[조석근기자] 통신 업계의 드론(무인비행체)에 대한 애정이 갈수록 뜨거워지고 있다. 드론을 활용하는 재난 대응 서비스도 착착 준비되고 있으며 다양한 드론 이벤트도 열릴 전망이다.

통신사들은 당장은 드론이 매출에 큰 영향을 주진 않지만 폭발적인 성장세에 대한 기대감에 따라 선제적인 대응에 나서고 있는 상황이다.

◆드론 상업화 시 통신 인프라 수요 '폭발'

SK텔레콤·부산시 컨소시엄은 최근 부산 스마트시티 실증단지 시범서비스에서 드론을 활용한 해운대해수욕장 재난대응 시스템을 선보여 관심을 끌었다. 이 시스템은 관제센터에서 드론이 보내오는 영상화질로 재난여부를 확인하고 필요시 드론에 장착된 구조장비를 바다로 떨어뜨려 인명구조를 할 수 있도록 한 서비스다.

KT는 오는 27일 서울 송파구 가든파이브에서 '기가(GiGA) 드론 레이싱' 대회를 주최한다. 드론 레이싱은 드론에 장착된 카메라로 드론들의 속도전을 생중계하는 신종 스포츠다. 이번 대회는 국내 기업이 드론 레이싱을 주최한 첫 사례다.

KT는 지난달 24일에도 드론에 LTE 시스템을 설치한 이동식 기지국을 공개했다. 이 시스템은 해상·산악 지역의 재난사고에 대비한 비상통신 시스템으로 통신이 불가능한 지역에 LTE 기지국을 탑재한 드론을 띄워 긴급상황에 처한 사람들이 이동통신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도록 구성했다. KT는 또한 국토교통부가 선정한 드론 시범사업자이기도 하다.

드론에 대한 관심은 LG유플러스도 마찬가지다. LG유플러스는 지난달 국토 최남단 마라도에서 띄운 드론을 서울 코엑스에서 실시간 원격통제하는 기술을 시연했다. 상용 통신망을 통한 원격통제로는 세계 최장거리라고 한다.

LG유플러스는 지난 9월 서울 상암DMC에서 LTE모듈을 설치한 드론이 촬영한 풀HD영상을 LG유플러스의 모바일 동영상 서비스 'LTE비디오포털'과 유튜브 등으로 실시간 송출하는 기술을 시연하기도 했다.

한국모형항공협회 관계자는 "최근 들어 취미용·완구용 드론에서도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으로 드론을 조종하는 방식이 국내에서 많이 보급된 상황"이라며 "소비자들의 관심이 커지는 만큼 통신사 입장에서 관심을 가질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통신사들의 드론에 대한 관심은 우선 세계적인 성장세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시장조사기관 프로스트앤설리번은 세계 드론 시장이 2020년까지 개인용과 산업용, 군사용 등 다양한 부문의 시장을 통틀어 115억달러에 이를 것으로 내다봤다. 2014년을 기준으로 연평균 20%의 성장세를 유지한다는 것이다.

이처럼 시장이 확대되기 위해선 소프트웨어, 항공관제, 인공지능 등 다양한 분야의 기술을 요구한다. 특히 통신의 역할이 중요하다. 드론을 조작하고 기체가 수집한 고화질 영상과 위치정보 등 데이터를 사용자와 주고받는 과정에서 LTE 같은 대용량 데이터망이 필수적이라는 것이다.

특히 드론의 상업화 과정에서 형성될 인프라가 핵심 요소다. 최근 아마존이 발표한 택배 서비스처럼 다수의 드론이 한꺼번에 동원될 경우를 가정해보자. 드론과 조종자, 관제자가 상호 교신할 데이터를 동시 처리할 클라우드 서버와 기지국, 관제시설 등 다양한 통신 인프라가 필요해진다.

IT평론가 류한석기술문화연구소 류한석 소장은 "통신사들 입장에서 드론에 삽입되는 개별 LTE 통신칩보다 상업용 드론 수천대의 동시 비행을 처리할 통신 인프라가 더 중요한 사업이"이라며 "통신사들의 관심이 지대한 사물인터넷(IoT) 분야에서도 드론은 핵심적인 킬러 아이템"이라고 설명했다.

◆드론 띄우기만 해도 불법? 규제개선이 관건

드론업체들에 따르면 국내 산업용 드론 시장 규모는 100억~150억원 수준으로 보인다. 취미용·완구용 시장을 합쳐도 수백억원대 규모에 불과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2025년까지 국내 드론업계의 세계 시장점유율 10%를 목표로 내걸고 드론 기업 650개를 새로 육성하겠다고 의욕적으로 나선 상황이다. 하지만 이같은 희망이 현실이 되기 위해서는 규제개선이 필요한 실정이다.

국내 대부분 지역이 드론비행 금지구역인 데다 시화, 양평, 고창 등 18개 비행가능 지역에서도 별도의 허가 아래 엄격한 비행고도 제한이 적용된다.

한 드론업체 관계자는 "아이들이 집 안에서 손바닥만한 장난감 드론을 날리더라도 엄밀히 말하면 불법인 마당에 성장을 기대할 수 있겠느냐"고 지적했다.

류한석 소장은 "드론의 추락으로 인한 안전 사고와 몰카에 따른 사생활 침해 가능성을 감안하면 어느 정도 규제는 필요하다"면서도 "정부가 어느 정도로 합리적인 기준을 마련하느냐가 드론 산업 참가자들의 성패를 가를 것"이라고 설명했다.

조석근기자 feelsogood@inews24.com




주요뉴스



alert

댓글 쓰기 제목 "하늘을 잡아라" 통신업계의 '드론 앓이' 이유는?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뉴스톡톡 인기 댓글을 확인해보세요.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