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성난 '세월호' 민심…떨고 있는 여야 정치권


높아진 정부 불신에 '정권 심판론'?…정치권 불신될 수도

[채송무기자] 사상 최악의 해상 사고인 세월호 참사로 인해 6·4 지방선거 구도 변화가 불가피해졌다.

당초 이번 지방선거는 박근혜 정권 초반에 치러지는데다 대통령과 새누리당 지지율이 고공행진을 기록하고 있어 여권에 유리한 구도였다.

그동안 지방선거의 주된 구도였던 '정권 심판론'이 힘을 발휘할 수 없는 상황에서 야권은 '기초선거 정당 공천' 논란에 빠져 '약속을 지키는 세력' vs '약속을 지키지 않는 세력' 구도를 만들기 어려운 정국이었다.

그러나 국가적 재난 사태인 세월호 침몰 사고로 인해 6·4 지방선거 구도는 한순간에 바뀔 전망이다.

당장 세월호 실종자 인명구조와 수습 과정에서 충체적 부실을 노출한 정부는 불신의 대상이 되고 말았다. 사고 초기 대응부터 보인 심각한 혼선과 무능, 여기에 정부 고위관계자와 여권 인사들의 잇따른 부적절한 행동들이 국민들에게 씻을 수 없는 상처를 줬다.

위기 대처 과정에서 불거진 정부의 무능은 여권의 가장 큰 힘이었던 박근혜 대통령의 지지율 추락으로 나타났다. 정홍원 국무총리가 사태의 책임을 지고 지난 27일 사의를 표명했지만, 실종자 수가 여전히 100여명을 넘는 상황에서 총리가 어떻게 사퇴를 할 수 있느냐며 오히려 무책임하다는 비판 여론이 높았다.

세월호 침몰 사고 이후 비등해진 성난 여론은 6·4 지방선거에서 힘을 발휘하기 어려울 것으로 전망됐던 정권 심판론에 다시 불을 붙이는 계기가 될 것이 자명하다.

그러나 이같은 구도가 야권인 새정치민주연합에게도 유리하지만은 않다. 새정치연합 역시 국정을 책임지는 한 축이며 정치권 전체에 대한 불신이 높아질 대로 높아진 민심이 야당에게도 어떤 표심을 보일지 알수 없기 때문이다. 특히 정치에 등을 돌린 민심이 저조한 투표율로 이어질 경우 야당도 역풍을 맞을 수 있다.

◆인지도 높은 현역 단체장 유리…선거 자정 기능 하락 역효과도

정치권은 이번 주부터 경선 일정을 재개하지만 세월호 희생자에 대한 국가적 애도 분위기로 관심을 끌기 어렵게 됐다.

이에 여야의 기존 선거 전략도 완전히 무너진 상황이다. 새누리당은 서울과 강원, 충청 등에서 치열한 경선을 통해 야권 소속인 현역 단체장을 넘겠다는 계획이었지만, 일단 무위로 돌아갔다. 새정치민주연합 역시 개혁 공천을 통해 새정치를 부각하려는 전략이 어려워졌다.

세월호 최초 희생자의 49재가 6·4 지방선거 전날인 것을 감안하면 이번 지방선거는 당일까지 전 국민적 애도 속에서 조용한 분위기로 치러질 전망이어서 인지도가 높은 현역 지방 단체장이 유리한 구도다.

다만 이같은 조용한 선거 분위기는 인물과 정책을 모두 가려 선거의 기본 기능인 자정 역할을 떨어뜨리는 역효과를 불러올 가능성도 적지 않다.

선거를 통해 기존 지방 권력은 재신임되거나 심판받게 된다. 크게 주목받지 못했던 능력 있는 신진 인사들이 정당 공천과 경선 등을 통해 새롭게 부각되기도 한다. 그러나 관심이 높지 않은 이번 지방선거에서는 인지도가 높은 현역 단체장과 정치 거물들이 유리한 구도를 점할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이다.

채송무기자 dedanhi@inews24.com 사진 조성우기자 xconfind@inews24.com








alert

댓글 쓰기 제목 성난 '세월호' 민심…떨고 있는 여야 정치권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