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기수기자] 차세대 시장으로 주목받고 있는 스마트 자동차, 웨어러블 스마트기기 등의 표준화를 통한 글로벌 기술 경쟁의 주도권 잡기가 본격화 된다.
정부는 이들 신산업에 대한 표준기반 연구개발(R&D) 전략 수립 및 이에 맞춘 표준화 작업에 박차를 가한다는 방침이다.
국가기술표준원은 16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미래 신성장 산업 표준기반 R&D 추진전략 발표회'를 개최하고, 기업과 연구기관 관계자 200여명을 대상으로 이같은 미래 신성장 산업에 대한 표준 및 미래형 기술개발(R&D)의 청사진을 제시했다.
표준기반 R&D는 세계시장에서 급속히 발전하고 있는 기술과 표준화 동향을 분석해 기술개발 과정에서 표준을 반영하는 미래형 R&D 사업이다.
국표원은 지난해 국가표준코디네이터 사업을 통해 ▲스마트그리드 ▲융복합반도체 ▲차세대전자소재 ▲미래컴퓨팅 ▲스마트의료정보 ▲스마트카 ▲신융합물류 등 미래 신성장 산업 7개 분야를 선정하고, 각 분야에 코디네이터를 지정해 표준기반 R&D 추진전략을 수립해 왔다.
국표원 관계자는 "국가표준코디네이터는 정부 R&D 과제의 표준화 연계와 산업화 지원을 담당하는 민간 전문가"라며 "국제표준을 기반으로 우리기술의 세계시장 확보와 국가 R&D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미래 신성장 산업에 대한 표준화 로드맵과 표준기반 R&D 기획 등을 주도적으로 추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최근 미국, 독일, 일본 등 선진국은 물론 중국까지도 막대한 예산과 인력을 투입해 스마트그리드, 스마트시티, 신재생에너지 등 미래 산업의 표준을 주도할 기술위원회(TC) 신설에 주력하고 있는 상황이다 미래 먹거리가 될 산업에서 주목할 만한 공통점은 기술·기기간 융합과 호환성을 확보해 시장을 선점하는 것이다.
또 ISO, IEC 등 국제표준화 기구에서 뜨거운 감자로 부상됐던 전기차 충전기 표준 제정도 미국, 한국 등 기술이 포함돼 마지막 단계인 국제표준 최종안(FDIS) 투표가 진행되고 있다.
이에 따라 국제표준의 최신 경향을 분석하고 국제표준을 통한 시장선점이나 새로운 시장 창출만이 치열한 표준전쟁에서 살아남는 길이라고 전문가들은 지적하고 있다.
국표원 안종일 표준정책국장은 "올해부터 코디네이터 사업을 창조경제 산업엔진 프로젝트와 직접 연계해 국제표준 분야의 기획을 전담할 방침"이라며 "스마트 자동차, 웨어러블 스마트기기 등 창조경제 산업엔진 프로젝트에 대해 표준기반 R&D 전략을 수립하고 이와 연계한 국제표준화를 본격 추진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정기수기자 guyer73@inews24.com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