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김필수 조직위원장 "튜닝이 불법?, 정부 책임이 크죠"


"튜닝 산업, 완성차 후방산업으로 연간 5조원 규모"

[정수남기자] "우리나라 튜닝 산업은 첫 단추를 잘 못 뀄습니다. 정부의 책임이 크죠?"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7일 개막한 '2011서울오토살롱·서울오토서비스" 행사장에서 만난 김필수 조직위원장(대림대 자동차학과 교수)은 이 같이 말문을 열었다.

김 위원장은 현재 우리나라의 '자동차 관리법'은 규제를 위한 것이지 관련 산업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악법'이라고 지적했다.

이로 인해 영어로 '조율하다(tuning)'라는 좋은 의미를 가진 말이 이륜차 등에 불법 부착물을 장착하고 요란한 음악을 틀고 도심을 질주하는 좋지 못한 모습으로 비쳐지면서 '튜닝=불법'으로 자리 잡았다고 김 위원장은 설명했다.

또 자동차 담당 부처도 국토해양부, 지식경제부, 환경부, 경찰청 등으로 분산돼 있어, 자동차 산업을 총괄할 수 있는 콘트롤 타워도 절실하다고 김 위원장은 강조했다.

"다만, 정치권에서 자동차 관리법 개정을 위한 공청회를 추진하는 등 늦게 나마 튜닝 시장 활성화를 위한 행보를 보이고 있어 다행"이라고 김위원장은 덧붙였다.

김 위원장에 따르면 올 가을 국정감사 이전에 한나라당 주도로 국회에서 튜닝산업 활성화를 위한 자동차 관리법 개정 공청회가 열릴 예정이다.

김 위원장은 "이번 공청회를 통해 법 개정의 당위성과 함께 한-유럽연합(EU),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등으로 개방이 불가피한 우리나라 자동차 산업의 사후시장의 성장 잠재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 위원장은 "외국에서는 새 차를 구입할 경우 자신의 취향과 생활 패턴에 맞게 차량을 개조하는 게 일반적"이라며 "법개정이 이뤄지면 이르면 내년 말이나 늦어도 내후년 초면 국내 튜닝시장이 활성화 돼 연간 5조원 이상 시장으로 성장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아울러 전남 영암에 있는 F1 자동차 경주장을 통한 국내 자동차 스포츠를 활성화 하기 위해서는 튜닝 문화가 먼저 정착해야 한다고 김 위원장은 강조했다.

향후 튜닝시장 진출을 위해 현재 현대모비스 등 자동차 전장부품 업체들이 물밑 작업을 펼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김 위원장은 "현재 5천억도 채 안되는 국내 튜닝시장에는 영세 중소업체들이 난립하고 있다"면서 "대기업 진입으로 튜닝산업이 활성화 되는 선적인 효과도 있으나, 중소업체들도 큰 타격을 입기 때문에 대중소기 동반성장도 튜닝산업에 필요한 요소"라고 주문했다.

김 위원장은 "튜닝산업 활성화를 위해서는 '서울오토살롱·오토서비스' 같은 행사가 더욱 활성화 돼야 한다"면서 "올해로 통합행사를 진행한 지 두해 째지만, 앞으로 규모를 더욱 늘려 국제행사다운 국제 행사로 거듭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자동차를 개조하기 위해서는 지방자치단체에 개조 신고를 먼저 해야 한다.

정수남기자 perec@inews24.com








alert

댓글 쓰기 제목 김필수 조직위원장 "튜닝이 불법?, 정부 책임이 크죠"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