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자살 부르는 '우울증', 환자 중 85% 치료 안 받아"


OECD 자살률 1위 국가 오명…'자살' 예방 위해 제도 개선 시급

[정기수기자] 우울증 등 의료적 문제가 자살의 중요한 원인임에도 불구하고, 국내 우울증 환자 가운데 85%는 지속적인 치료를 받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자살 기도자들이 진료받을 수 있는 제도 개선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한국보건의료연구원은 최근 우리사회에 심각한 문제로 대두된 우울증과 자살에 대한 대책 마련을 위해 기존의 연구들과 전문가들의 의견을 종합해 '국내 우울증의 질병부담과 치료현황'을 분석한 결과, 평생 한 번이라도 우울증을 앓은 사람이 전체 인구의 5.6%(약 200만 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22일 밝혔다.

연구원은 또 현재 우울증을 앓고 있는 사람도 전 국민의 2.5%(약 100만 명)에 이른다고 추정했다.

하지만 정신과 등에서 우울증 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 수는 29만명에 그쳤으며, 이 중 지속적으로 치료를 받는 사람은 15만명(15%)에 불과한 실정이다.

연구원 관계자는 "우울증은 2주 이상 우울증상이 지속돼 일상생활이나 사회생활에 심각한 지장을 주는 질환이지만, 누구나 앓을 수 있고 치료도 얼마든지 가능하다"며 "하지만 '정신 질환'이라는 편견 때문에 방치되면 자살 등 심각한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연구원은 또 우리나라의 자살에 대한 효율적인 대책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우울증과 자살에 대한 현황파악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이번 연구에 참여한 조맹제 서울대학교병원 신경정신과 교수는 "국내 자살기도자의 60~72%, 자살사망자의 80%가 정신질환을 지니고 있었고, 그중에는 우울증이나 알코올 남용 환자가 대부분"이라면서 "이는 자살기도자가 치료가 필요한 의학적 상태의 환자라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이어 "자살은 사회문제이자 의료문제로 한국사회가 풀어야 할 최우선 과제 중 하나"라면서 "의학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는 대상자를 조기에 파악하고 실질적인 의료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우울증의 조기 발견과 지속적인 치료 및 자살기도자의 향후 치료와 관리를 위해 국가적인 연구와 대책마련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덧붙였다.

/정기수기자 guyer73@inews24.com






alert

댓글 쓰기 제목 "자살 부르는 '우울증', 환자 중 85% 치료 안 받아"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뉴스톡톡 인기 댓글을 확인해보세요.



포토뉴스
박찬대 원내대표 격려하는 이재명 대표
박찬대 원내대표 격려하는 이재명 대표
'비상계엄 해제한 국민께 드리는 감사문'
'비상계엄 해제한 국민께 드리는 감사문'
최상목 탄핵안 법사위 회부
최상목 탄핵안 법사위 회부
우원식 국회의장 대국민 특별담화
우원식 국회의장 대국민 특별담화
윤 대통령 탄핵 '인용'에 허탈한 尹 지지자들
윤 대통령 탄핵 '인용'에 허탈한 尹 지지자들
윤석열 파면 직후 용산 청사에서 내려지는 '대통령 상징' 봉황기
윤석열 파면 직후 용산 청사에서 내려지는 '대통령 상징' 봉황기
'윤석열 파면'에 분노하는 지지자들
'윤석열 파면'에 분노하는 지지자들
'윤석열 파면' 인사 나누는 국회측 변호인단
'윤석열 파면' 인사 나누는 국회측 변호인단
'윤석열 파면' 헌재 결정문 듣는 윤 대통령 변호인단
'윤석열 파면' 헌재 결정문 듣는 윤 대통령 변호인단
'윤석열 파면'에 분노하는 지지자들
'윤석열 파면'에 분노하는 지지자들